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시노펙스, 불산폐수 처리 시스템 국내 최초 개발

수처리 전문기업인 시노펙스는 전자 및 항공산업에 적용되는 유리의 표면처리, 세정 및 식각 공정에서 발생되는 고농도의 불산폐수를 처리하는 시스템을 국내 최초 개발에 성공했다. 시노펙스는 자체기술로 개발한 불산폐수 처리 시스템을 LG DISPLAY의 협력사인 (주)청심이엔지에 일일 처리 용량이 200톤인 시스템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청심이엔지는 경북 구미에 위치한 휴대폰 및 TV에 적용되는 유리를 약품(불산 등)을 사용하여 얇게 가공하는 업체이다. 시노펙스가 개발한 불산폐수 처리 시스템은 이번 공급을 계기로 유리를 사용하는 태양광 및 LCD, LED 등 디스플레이 업체와, 항공산업 관련 업체로의 공급 확대가 예상된다. 그 동안 유리의 표면처리, 세정 및 식각 공정에서 발생되는 불산폐수의 처리는 흡착제를 이용하는 화학적처리 공정을 거치게 되었는데, 여기서 발생되는 침전물을 다시 분리시키기 위해 넓은 면적이 필요했다. 또한, 불산을 고형화하기 위해 흡착제인 소석회를 사용하여 다량의 침전물이 발생되고 침전공정에서 미분리된 불산 고형물(CaF)을 처리하기 위해 2중, 3중의 시설을 설치하여 초기 설치비가 많이 들고 낮은 효율성으로 인해 높은 폐수처리 비용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시노펙스의 불산폐수 처리 시스템은 약 1년간의 연구개발을 통하여 국내 최초 개발에 성공한 것으로, 불산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멤브레인 필터를 활용하여 유리의 표면처리, 세정 및 식각 공정에서 발생되는 고농도의 불산 폐수(불소농도 15,000mg/L)를 방류수 수질 기준(불소농도 15mg/L)으로 안전하게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시노펙스에서 개발한 불산폐수 처리 시스템은 기존 화학적처리 공정에 멤브레인 필터를 적용하여 안정적인 처리 수질 확보, 시스템 설치 부지 최소화, 설치비와 유지관리비 30% 이상 절감, 자동화 운전기능의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시노펙스 손경익 대표이사는 “스마트폰과 TV에 공급되는 유리를 약품(불산 등)으로 가공하는 업체들은 불산폐수 처리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하고 “기존 설비 대비 설치비와 유지관리비용이 30% 이상 저렴하며, 도입 3년내에 설치비 회수가 가능한 불산폐수 처리 시스템 개발로 유리 가공업체의 기업경쟁력을 제고하고 나아가 환경보전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라고 전했다. 시노펙스는 스마트폰과 TV 시장의 급격한 성장으로 수요가 크게 증대되고 있는 유리를 약품(불산 등)으로 가공하는 업체에 적극적인 불산폐수 처리 시스템의 마케팅을 통해 하반기에 50억원의 매출을 계획하고 있으며, 2011년에는 국내는 물론 중국과 동남아시아 등으로 시장을 확대하여 연간 300억원의 매출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시노펙스는 폐수처리공정에서 발생되는 방류수를 재이용 하여 무방류 시스템을 개발 중에 있다고 밝혔다. 시노펙스는 수처리의 핵심 기술인 멤브레인 필터와 설계, 시공, 운전 등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처리 및 각종 재이용 시스템의 설계부터 시공까지 Total Solution을 보유한 기업으로 대규모 하, 폐수 처리 시장 진출 및 확대를 위해 각종 시스템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