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청와대 인력 20% 줄인다

인수위, 456명서 360명으로 축소 검토<br>부처 복귀때 승진·요직 배치 관행도 폐지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박근혜 정부에서의 청와대 비서실 정원을 현재보다 20%가량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27일 알려졌다.

인수위 핵심 관계자는 이날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청와대 비서실은 순수하게 대통령 보좌업무만 하는 조직으로 슬림화할 계획"이라며 "현재 청와대 비서실 정원 456명을 기준으로 20%가량 줄인 360여명 수준으로 대폭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 조직은 작지만 실무형 인력들로 효율적인 비서라인을 구성해 일 잘하는 청와대를 만들겠다는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의지가 반영될 것으로 풀이된다.


청와대 비서실 정원 축소는 보고 체계 간결화와 슬림화에 방점을 두고 있다. 정책실장과 기획관 자리를 폐지하기로 한 것이 이 같은 맥락이다. 현재 대통령실장-정책실장-수석비서관(기획관)-비서관 4단계 보고 체계를 비서실장-수석비서관-비서관 3단계로 축소해 의사결정이 빠른 효율적으로 시스템을 갖추겠다는 것이다. 또 수석비서관과 기획관ㆍ비서관 등 고위공무원단이 현재 45개 자리에서 34개로 축소하는 만큼 실무자들인 행정관 자리도 대폭 줄여 각 부처 업무에 관여하는 것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고위공무원단은 100여명에서 80여명, 실무자급인 행정관은 200여명에서 160여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나머지 5급 이하와 기능직 인력도 150여명에서 120여명으로 줄여 총 360여명 안팎의 인력이 일하는 슬림화된 청와대 조직을 구성할 것으로 보인다. 현 정부도 청와대 조직을 구성하면서 정원 기준으로 15%가량 인력을 줄여 531명의 정원을 456명으로 축소했다.

인수위 관계자는 "청와대 인력축소는 일하는 조직으로 바꾸기 위한 것"이라며 "이를 위해 청와대서 일하다 소속 부처로 복귀하면 승진하거나 요직을 차지하는 청와대 프리미엄 관행도 없애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장관급으로 격상된 경호실 인력도 축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현재 524명인 정원을 10%가량 줄인 450여명 안팎으로 축소하는 방안이다.


이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