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업 올 임금상승률 2000년 이후 '최저'

평균 5.5%…동결·삭감중 中企가 83%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임금 동결과 삭감 추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섭 타결 진도는 지난해에 비해 크게 저조한 가운데 임금인상률은 지난 2000년 이후 최저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11일 노동부에 따르면 10월 말 현재 임금교섭을 타결한 100인 이상 4,061개 사업장 가운데 임금을 동결하거나 삭감한 사업장은 663개로 전체의 16.3%에 달해 지난해 동기 15.9%에 비해 0.4%포인트 증가했다. 이들 동결ㆍ삭감 사업장 중 300인 미만 중소기업이 전체의 83.0%(지난해 84.9%)를 차지, 300~500인(8.0%), 500~1,000인(4.7%), 1,000~5,000인(4.1%), 5,000인 이상 사업장(0.3%)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업종별로는 운수업(36.0%), 부동산ㆍ임대업(28.6%), 금융ㆍ보험업(26.4%), 통신업(23.5%) 등의 임금 동결ㆍ삭감 비율이 다른 업종에 비해 높았다. 또한 전체 임금교섭 타결 진도율은 68.7%로 지난해 동기 81.6%에 비해 12.9%포인트나 낮은 부진을 보였고 금융ㆍ보험업(36.2%)과 운수업(45.3%)은 극히 저조했다. 이들 임금교섭 타결 사업장의 평균 임금인상률(총액 기준)은 5.5%로 200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공공 부문 인상률은 2.7%로 민간 부문 5.6%에 비해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 업종별 인상률은 건설업(7.7%), 제조업(6.1%), 오락ㆍ문화ㆍ운동 관련 서비스업(6.0%) 등은 평균을 웃돈 반면 통신업(1.9%), 전기ㆍ가스ㆍ수도사업(3.5%), 광업(3.8%) 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