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특허청, 지식재산 데이터 대중화에 나선다

지식재산 데이터 대중화의 길이 열린다.

특허청은 30일 지식재산 데이터 대민 제공 전략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 전략은 △국내외 데이터의 입수·개방 확대 △오류 없는 고품질 데이터 제공 △지식재산 데이터에 대한 이용자 접근성 향상 △민간 서비스와 중복되는 특허청 서비스 정비 등을 주요 골자로 한다.

우선 특허청은 해외 지식재산 데이터 입수국을 대폭 확대한다. 민간의 수요가 많은 고부가가치 반가공 데이터(법적 상태, 특허 패밀리 등)도 해외에서 적극 확보해 국민에게 제공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특허청은 현재 총 46개국인 데이터 입수 지정 국가를 2017년까지 총 66개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데이터의 대민 제공에 합의한 국가 역시 미국, 일본, 중국 등 현재 7개국에서 2017년까지 30개국으로 늘린다.

관련기사



이미 국제적 수준을 자랑하는 데이터 품질 역시 2017년까지 99.8% 수준으로 끌어올린다. 이를 위해 데이터 품질관리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과거 이미지 공보 데이터를 2017년까지 전량 텍스트로 변환하는 등 데이터 누락과 오류사항도 정비해 나간다.

데이터의 이용 문턱도 크게 낮아진다.

기존에는 이용자가 직접 특허청 DB에 접근해야 이용할 수 있는 Open API(Open Application Programmer Interface) 방식으로 운영되면서 데이터가 유로로 제공되는 것은 물론 전산지식 역시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청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웹 다운로드 방식 및 웹(Web)상의 데이터를 상호 연결해 제공하는 최신 기술인 LOD(Linked Open Data)방식을 도입한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제공 수수료 체계도 이용자의 부담을 대폭 덜어주는 방향으로 전면 개편된다. 월 1,000건 이하의 소용량 이용자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고, 그 이상의 대용량 이용자는 연회비 249만 원으로 모든 데이터(현재 총 30종)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이준석 특허청 차장은 “이번에 발표된 전략을 차질없이 추진해 일반 국민이 저비용으로 고품질의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누리도록 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국민들과 소통에 적극적으로 나서 실효성있는 데이터 개방 정책을 펼쳐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