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굿샷클리닉] 스코어 내는 공략법②

[굿샷클리닉] 스코어 내는 공략법② 어드레스때 볼이 양발보다 지형이 높은 비탈면에 놓여있을 경우에는 훅이 날 가능성이 높고, 반대로 앞이 내려간 다운힐의 경우에는 악성 슬라이스가 될 위험이 많다. 이 같은 두가지 트러블 샷을 그때그때 상황에 맞게 아주 적적하게 대처하지 못하면 상급의 관문을 통과하기가 대단히 어렵다. 이 단 한번의 트러블 샷이 경우에 따라서 엄청난 재앙을 몰고 오기 때문이다. 이 경우 첫번째 상황에서는 정상적인 스퀘어(직각) 어드레스보다 목표방향의 오른쪽을 겨냥하거나 클럽을 약간 열어 공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번째 경우는 왼쪽 허리가 열리지 않은 사이에 쳐 내야 한다. 볼은 오른쪽에 더 가까이 놓고 백스윙은 작게 하되 폴로스루는 크게 해야 한다. 이 때 클럽 헤드는 잔디를 따라서 볼을 훑어 낸다는 기분으로 스윙해야 미스 샷을 줄일 수 있다. 또 도그레그 홀은 구부러진 각도가 클수록 볼이 지름길로 날아가려는 성향이 짙다. 즉 직선으로 잘 쳤다고 하더라도 이후 볼의 향방을 예측하기가 어렵다. 실제로 턱이 있거나 골짜기가 있어 예상했던 것과는 전혀 엉뚱한 결과를 낳는 경우가 많다. 이 같은 상황에서는 다음 샷을 어디에서 할 것인가가 더 중요하다. 무모한 공략보다는 다음 샷의 위치를 미리 선정, 우회하는 공략법이 더 주효하다. 다시 말해 평소처럼 페어웨이 중앙을 포인트로 삼고 한 클럽 길게 잡고 공략하면 거리적으로 큰 차이가 없다. 볼의 낙하지점을 확인하지 못하고 가슴 졸이거나 볼을 잃어버려 벌타를 받는 것보다 몇 배 더 낫다. 드라이버 샷의 공략 루트를 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많은 아마추어 골퍼들은 눈대중으로 대충 목표방향을 정한 뒤 스윙하고 마는데 코스공략의 올바른 매니지먼트가 아니다. 특히 넓은 홀에서는 50m에서 100m, 혹은 200~300m 전방 페어웨이의 가까운 한 점을 선정한 뒤 거기서부터 상상으로 라인을 그어 홀을 공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셋업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좁은 페어웨이도 넓게 활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또 자신의 구질에 따라 티 박스의 어느 지점에서 어드레스를 취할 것인가도 중요한 문제다. 이 위치 선정이 볼을 페어웨이 한 가운데로 보낼 수도 있고, 정반대로 OB구역으로 날려보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밖에 나무 사이에서 쳐 내려고 할 때의 미스 샷은 가장 가까운 나뭇가지에 맞을 확률이 압도적으로 많다. 탈출을 시도할 때는 멀리 있는 나무보다 가장 가까이에 있는 장애물을 먼저 살피는 것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스윙 조절의 기술도 매우 중요한 포인트다. 의도적으로 탄도가 높은 볼을 구사하기 위해 티 높이를 높였다면 이에 맞는 스윙궤도를 만들어줘야 한다. 이 경우는 어드레스 자세를 높이거나 볼에서 4.5cm 떨어져서 셋업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입력시간 2000/11/13 18:10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