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한국 반도체 점유율 30년만에 일본 추월

칩 판매액 3,179억 달러

작년 15.8%로 美이어 2위


우리나라 업체들의 세계 반도체시장(칩 판매액 기준) 점유율이 사상 처음으로 일본을 제쳤다. 점유율은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반도체협회와 시장조사기관 아이서플라이를 인용해 이같이 밝혔다.


지난 2013년 세계 반도체 칩 판매액은 3,179억달러로 이 중 우리나라는 15.8%(501억달러)를 차지한 것으로 추산됐다. 이 같은 시장점유율은 일본(13.9%)을 제치고 미국(52.4%)에 이어 2위다.

김정일 산업부 전자부품과장은 "우리나라가 본격적인 반도체 개발에 나선 지 약 30년 만에 그동안 넘을 수 없던 벽으로 느꼈던 일본을 앞섰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세계시장 점유율을 반도체 칩 종류별로 보면 메모리는 2010년 49.8%에서 2013년 52.7%로, 시스템반도체는 2.9%에서 5.0%로, 기타 소자는 7.4%에서 10.4%로 각각 높아졌다.

관련기사



일본은 메모리반도체의 경쟁력을 급격히 잃고 모바일용 반도체 등 새로운 시장 수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1988년 51%에 달하던 세계시장 점유율이 15% 밑으로 추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정부는 우리나라의 반도체산업이 메모리 분야에 치중해 발전한 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시장규모가 메모리반도체의 약 4배인 시스템반도체 분야에 더 큰 관심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반도체 장비·소재 국산화율을 높이는 데도 국내 업체들이 노력할 것을 당부했다. 2012년 국산화율은 장비 20.6%, 소재 48.5%다. 반도체 칩과 장비·소재를 포함한 세계시장 규모는 지난해 4,107억달러로 추산됐다.

산업부는 "지난해 10월 마련한 반도체산업 재도약 전략을 중심으로 고부가 반도체 개발, 핵심 장비·소재 국산화, 해외시장 개척 등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