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좀 더 일찍 개발하지…아! 숭례문"

표준과학硏, 문화재 훼손없이 감시성능 높인 광섬유센서 기술 선봬

“좀더 일찍 개발됐더라면….” 목재 등을 훼손하지 않고 문화재 주변에 안전하게 설치, 침입자를 감시할 수 있는 광센서기술이 개발됐다. 국보1호 숭례문 전소사건이 더더욱 안타까워지는 연구 성과로 평가된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13일 “국가 중요 자산인 문화재와 공공기반 시설물 등에 설치, 화재 및 침입자를 조기에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광섬유센서와 적외선 열화상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표준연에 따르면 그간 문화재 감시설비의 경우 센서 설치시 훼손 가능성, 시스템 노출에 따른 미관 저해, 합선ㆍ누전사고 가능성 등으로 효과적인 감시체계 구축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기존 숭례문에 설치돼 있던 침입자 감시시스템은 센서 사이로 어떤 물체가 통과해도 침입으로 간주, 동물이나 물건 등에 의해 발생하는 경보를 침입자에 의한 경보와 구별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반면 표준연이 개발한 감시시스템은 광섬유센서시스템과 적외선 열화상시스템으로 먼저 2㎞의 광섬유라인을 문화재와 같은 시설물에 설치, 약 1m 간격으로 온도 변화를 읽을 수 있게 된다. 광섬유센서는 빛을 이용하는 만큼 전기 누전이나 전자기 잡음, 부식 등의 우려도 없다. 안봉영 표준연 안전계측연구단장은 “눈에 잘 보이지 않는 광섬유라인을 통해 침입자 초기 감시기능이 이뤄진다”며 “이후 침입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 무인카메라가 즉각 작동돼 침입자의 행동을 촬영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안 단장은 “적외선 열화상시스템은 빛을 감지하기보다는 열을 감지하기 때문에 조명이 필요 없어 깜깜한 밤에도 침입자를 감지할 수 있다”며 “일반 폐회로TV(CCTV)보다 적외선 열화상 감지시스템이 훨씬 효율적으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