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총기난사' 사건 여진 여전히 남아

부사관연맹 장관 면담요청·유가족 제보 촉구

8명의 `총기난사' 사건 희생자들에 대한 영결식이 끝난지 11일로 16일째를 맞고 있지만 사건의 여진은 좀처럼 가시지 않고 있다. 6월19일 발생한 `총기난사' 사건은 사건 발생 엿새째인 25일 희생자들에 대한 영결식과 같은 달 30일 윤광웅 국방장관에 대한 국회 해임건의안 부결로 일단락되는듯 했다. 그러나 육군이 `총기난사' 사건이 발생한 최전방 GP(前哨)의 부소초장 최모 하사를 7월5일 근무기록 허위 기재 혐의(명령위반)로 전격 구속하면서 문제가 다시 불거지기 시작했다. 부사관 출신 예비역을 중심으로 한 네티즌들이 최 하사의 구속은 부당하다며 국방부 홈페이지(www.mnd.go.kr)에 연일 석방을 촉구하는 항의성 글을 올리고 있는 것. 이들은 총기난사 사건에 대한 지휘계통의 책임은 묻지 않은 채 힘없는 최 하사만 희생양으로 삼고 있다며 최 하사의 구속을 강력 성토하고 있다. 특히 부사관 출신들의 모임인 `대한민국 부사관총연맹'은 이달 7일부터 최 하사의 석방을 요구하며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 앞에서 1인 시위에 돌입했는 가 하면10일 국방부 홈페이지 게시판을 통해 "최 하사 구속건에 대한 솔직한 대화를 신청한다"며 윤 장관과의 면담을 요청했다. 최 하사 구속에 대한 논란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인터넷 상에서 예비역 장교 및부사관 출신들간의 감정싸움 양상으로 번지고 있으며 `총기난사' 사건 유가족 대책위원장을 맡고 있는 조두하씨는 군의 수사결과를 믿을 수 없다며 사건이 발생한 28사단 장병들의 제보를 촉구하고 나섰다. 조씨는 10일 "사건의 실체와 사실규명을 더 이상 방관할 수 없다"며 사건 당일처음으로 총성이 울린 시간 및 후송조치 등에 대해 제보를 부탁한다고 밝혔다. 이 같은 `총기난사' 사건의 여진은 지휘라인에 대한 문책 여부에 따라 상당한폭발성을 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와 육군은 현재 `총기난사' 사건과 관련, 사건이 발생한 28사단 해당 연대장과 중대장에 대해서만 지휘책임을 물어 보직해임했지만 28사단장과 상급 부대인6군장에 대해서는 "추가 조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책임을 물을 방침"이라며문책을 미루고 있다. `총기난사' 사건에 대해 최종 수사결과 발표까지 끝난 마당에 군 당국이 `추가조사' 등을 말하고 있는데 대해 일각에서는 군 당국이 여론의 눈치를 살피다 적당히넘어 가려 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실제 군 지휘부 일각에서는 `총기난사' 사건이 발생한 것에 대해 지휘라인이 직접적인 책임이 없는데 문책인사를 해서는 안된다는 의견을 강력히 피력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지휘책임과 관련, 최전방 GP에서 8명이 사망하고 4명이 부상하는 대형 총기난사 사건에 지휘책임을 묻지 않는다면 어떤 경우에 지휘책임을 묻겠느냐"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더구나 국군기무사령부가 최근 `총기난사' 사건 예방을 위해 제대로 역할을 수행하지 못했다며 5명에 대한 내부 문책인사를 한 마당에 해당부대의 지휘관이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이귀원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