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미분양 16만가구 돌파 '사상최대'

7월, 전월比 9% 늘어… 수도권만 2만3,000가구<br>지방선 대구 2만가구 넘어 최고·인천 등은 줄어<br>'준공후 미분양'도 5,327가구 늘어 4만562가구


전국의 미분양 주택수가 16만가구를 넘어서며 미분양 집계를 시작한 이래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특히 대책 없이 방치되고 있는 수도권의 미분양이 2만3,000여가구에 육박했다. 국토해양부는 지난 7월 말 현재 전국의 미분양 주택수는 총 16만595가구로 종전 최대치인 15만9,471가구(1995년 10월 말)를 넘어섰다고 30일 밝혔다. 4월과 5월 감소세를 보였던 미분양 주택수는 6월 1만9060가구(14.9%) 증가한 데 이어 7월에도 1만3365가구(9.1%)가 늘며 2개월 연속 급증세를 보였다. 미분양 주택은 지방뿐 아니라 수도권에서도 크게 늘었는데 지난해 말 현재 1만4,624가구에서 7월 2만2,977가구로 무려 57.1%나 급증했다. 전월과 비교해서도 4,055가구, 21.4% 증가했다. 악성 물량인 ‘준공 후 미분양’도 전달 대비 15.3%(5327가구)가 늘어나 역대 최대인 4만562가구를 기록했다. 이처럼 미분양이 크게 늘어난 데는 건설사들이 그동안 미신고 했던 미분양 주택을 정부의 6·11 미분양대책 혜택(신고분에 한해 취득ㆍ등록세 감면 등)을 받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에 추가로 신고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시도별로는 대구가 2만1,378가구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으며 경기도는 한달간 3,781가구(22.6%) 늘어난 2만514가구에 달했다. 그러나 인천과 대전ㆍ충남ㆍ강원 등에서는 오히려 미분양 물량이 소폭 감소했다. 한편 전체 미분양 중 민간주택은 15만9,526가구로 전월 대비 1만3,280가구(9.1%) 증가했고 공공주택도 85가구, 8.6% 늘어난 1069가구로 집계됐다. 규모별로는 전용 60㎡ 이하가 8003가구로 325가구(4.2%) 늘었으며, 60㎡ 초과~85㎡ 이하는 6만6206가구(3202가구, 5.1% 증가), 85㎡ 초과는 8만6386가구(9838가구, 12.9% 증가)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