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융권 공동펀드 만든다

PF대출 인한 저축銀 동반부실 방지위해…이달말께 관련대책 발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부실화에 따른 저축은행의 동반부실을 막기 위해 은행, 우량 저축은행 등이 공동으로 자금을 모아 (가칭) PF펀드를 조성, 사업을 정상화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또 이와 별개로 PF 부실 등으로 재무상태가 악화된 저축은행에 대해서는 사전에 적기 시정조치를 적극 발동해 인수합병(M&A)을 적극 유도할 계획이다. 22일 금융당국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이 같은 내용 등을 담은 ‘PF대책’을 준비, 검토하고 있으며 현재 진행 중인 899개 PF사업장에 대한 전수조사가 10월 말에 끝나는 대로 발표할 계획이다. 상호저축은행의 PF사업장 전수조사는 현재 90%가량 조사가 완료된 상태이며 조사 결과를 토대로 여러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899개 전수조사를 토대로 PF사업장을 A등급(정상), B등급(보통), C등급(취약ㆍ위험) 등으로 나눌 계획이다. 금융당국은 C등급으로 분류된 현장에서 사업청산시 더 많은 피해가 발생하는 점을 고려, 사업 지속 추진을 유도하기로 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이를 위해 일종의 PF펀드를 고려하고 있다”며 “우량 상호저축은행과 해당 사업장과 관련된 은행권 등 이해관계자들이 공동으로 자금을 모으고 여기에 자산운용사 등을 결합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C등급 사업장을 소유한 상호저축은행의 경우 이와 별개로 대손충당금을 더 많이 적립하게 할 계획이다. 또 PF 부실로 경영상태가 악화된 저축은행에는 적극적으로 적기 시정조치를 발동하고 M&A 등을 적극 유도해 구조조정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정부의 PF대책은 이르면 10월 말에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