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영진위 600억 영화펀드 좌초위기

불황으로 산업은행·통신사 등 '큰손' 참여 불투명

한국영화산업 활성화 대책으로 영화진흥위원회가 추진 중인 600억원 규모의 영화펀드 조성 사업이 시작 전부터 좌초될 위기에 처했다. 강한섭 영진위 위원장이 취임 이후 내놓은 중대형 펀드 조성 계획이 산업은행 등 공공영역의 불참과 미국발 금융위기에 따른 자금경색으로 난항을 겪고 있는 것. 영진위는 지난 10월말 600억원 중대형 펀드를 포함해 다양성 펀드 등 모두 800억원을 조성할 방침이라고 밝히고 관련 작업을 진행해왔다. 하지만 지난달 펀드 조합원을 모집한다는 공고가 나간 지 열흘 가까이 지났지만 산업은행과 대형 통신사 등 ‘큰손’들은 아직 참여 여부조차 검토하지 않는 등 시장은 싸늘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영진위 국내진흥1팀 관계자는 “주변 여건이 어렵지만 영화 펀드에 참여하는 일반조합원을 모집하기 위해 다양한 채널을 통해 움직이고 있다”며 “산업은행과 각종 공제회 등 공공의 영역에서 얼마 만큼의 금액을 확보할 수 있을 지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펀드가 결성되는 것은 이달 말쯤 되면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로서는 600억원 규모의 영화펀드가 결성될 가능성은 반반인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영진위 측은 현재 경제상황과 금융위기 등으로 시장 상황에 돌발 변수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그런 탓에 최악의 경우 영화펀드 조성이 무산될 수 있기 때문에 금액을 300억~400억원으로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다만 영진위는 현재 산업은행과 통신사 등과 접촉하고 있고 해외 쪽 움직임도 있어 비관적인 것만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영진위의 설명과 달리 산업은행과 통신사 등이 일반조합원으로 참여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관측된다. 이와 관련 산업은행 관계자는 “중대형 펀드 조성은 당초 참여정부 당시 재경부의 서비스경쟁력 강화의 일환으로 추진하던 것”이라며 “산업은행의 민영화 문제와 글로벌 금융위기 등 여러 가지 변수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우선 산업은행이 민영화 되면 공공성 뿐 아니라 수익성도 중요해 진다”며 “창투사와 영진위로부터 구체적으로 요청 받은 것도 없으며 내부적으로 검토한 결과 600억원 펀드에 참여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말했다. 산업은행은 당초 영진위가 160억~180억원의 예산을 중대형 펀드에 출자할 경우 100억원을 투자하는 방안을 검토한 바 있다. 산업은행의 불참이 확정될 경우 영진위의 중대형 펀드 구상은 현실화되기 어렵다는 게 영화계 안팎의 중론이다. 또한 영진위의 기대와 달리 현재 KTㆍSKT 등 통신사는 영진위 측으로부터 펀드 조성과 관련해 요청 받은 게 없고 검토하는 것도 없다고 공식 입장을 전해왔다. 펀드 조합원을 모집하는 공고는 오는 17일 마감되기 때문에 좀더 지켜봐야겠지만 강 위원장이 발표했던 600억원 펀드조성은 ‘장미빛 계획’에 그칠 수도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