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국 '조선 최강' 자리 中에 내줘


우리나라가 올해 상반기 사상 처음으로 조선업의 경쟁력을 나타내는 3대 지표인 수주량, 수주잔량, 건조량에서 모두 중국에 1위 자리를 내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지난해부터 수주량과 수주잔량 부문에서 중국에 추월당한데 이어 올 상반기 처음으로 건조량(건조를 끝내고 인도한 물량)에서도 중국에 추월당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 지난 2003년 3대 지표에서 모두 일본을 앞지르며 7년간 유지했던 ‘조선 최강국’의 지위를 중국에 완전히 넘겨주게 됐다. 18일 국제 조선ㆍ해운시황 분석기관인 클락슨과 업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조선업체들의 상반기 선박 건조량은 747만889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로 801만4,148CGT를 기록한 중국에 밀렸다. 한국이 반기 기준 선박 건조량에서 중국에 뒤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현재 추세로 볼 때 연간 기준으로도 중국에 1위를 빼앗길 것이 확실시된다. 우리나라는 상반기 선박 수주량에서도 462만CGT(점유율 38.0%)로 502만CGT(41.2%)를 기록한 중국에 뒤졌다. 선종별로 상반기 중국의 벌커 수주량은 441만CGT로 한국(270만CGT)을 크게 앞섰으며 탱커는 한국이 153만CGT로 중국(66만CGT)보다 많았다. 한국의 6월 말 기준 수주잔량도 4,925만1,753CGT로 5,330만7,252CGT의 중국에 이어 2위에 머물렀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정부는 오는 2015년부터 한국을 추월하겠다고 공언해왔는데 목표 시점이 5년이나 앞당겨진 셈”이라며 “중국은 자국 해운사의 발주 물량이 워낙 많아 연간 실적에서도 1위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