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세계경제 고성장 시대 끝났다"

LG硏 "美등 선진국 소비위축$한국, 2015년까지 연평균 3.7% 성장"


LG경제연구원은 우리나라가 오는 2015년까지 연평균 3.7%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 경제의 성장률은 연평균 3.3%에 머물러 지난 1980~1990년대 수준으로 주저앉을 것으로 예상했다. LG경제연구원은 18일 '2010~2015 글로벌 경제환경 전망' 보고서에서 이같이 진단했다. 연구원은 "최근 경기회복은 경제위기 이후 미뤘던 소비와 투자 개선에 따른 반등의 성격"이라며 "세계 경제의 고성장 시대는 끝났다"고 분석했다. 과거 고성장 메커니즘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게 그 이유. 연구원은 "과거에는 저금리 금융시장 과열로 고평가된 자산에 기반해 미국 등 선진국 소비가 과도하게 늘어났고 이는 개발도상국의 투자와 생산을 이끌었다"며 "앞으로 미국 등 선진국은 차입축소 필요성과 재정적자 부담으로 소비가 위축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그러면서 미국(2.1%), 일본(0.8%), 유로(0.7%) 등 선진국은 2015년까지 평균 1.5% 성장하는 데 그치고 이 영향을 받아 중국(7.6%), 인도(6.9%), 브라질(3.7%) 등 개도국도 5.3%로 성장세가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나라도 내년 성장률이 3.5%로 낮아지는 것을 비롯해 2015년까지 연평균 3.7% 성장하는 데 만족해야 할 것이라고 연구원은 지적했다. 또 앞으로 전세계가 중국발(發)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질 것으로 전망됐다. 2000년대 초반 전세계적인 경제호황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안정됐던 이유는 중국산 저가 제품이 전세계로 공급됐기 때문. 그러나 중국의 임금상승, 위안화 절상, 그리고 재정부채에 시달리는 각국정부의 통화확대 정책 유인 등을 고려하면 물가불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국제유가와 환율은 완만한 속도로 변할 것이라고 연구원은 예측했다. 연구원은 국제유가는 2015년에 서부텍사스산중질류(WTI) 기준으로 배럴당 110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경기회복에 따라 수요가 늘겠지만 과거보다 수요 증가율이 낮아져 급등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것. 달러화 지위와 관련해서는 완만한 약세를 예상했다. 경기가 회복될수록 안전자산으로서의 달러화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 것이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