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형 여드름 진단기준 개발

삼성서울병원등 5개 의대…한국인 특성맞게 6단계로 구분


한국인의 특성에 맞는 여드름 진단기준이 국내 처음 마련돼 환자치료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성대의대 삼성서울병원 이주흥(피부과) 교수를 비롯한 국내5개 의과대학 의료진(삼성서울병원 서울아산병원 경희의료원 한양대병원 원주기독병원)은 한국형 여드름 중증도 시스템(KAGS)을 1년6개월에 걸쳐 완성, 각급 병원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그 동안 연구팀은 약250명의 환자사진을 수집, 4개 모델군을 대상으로 여드름의 특성을 연구했고 기존의 여드름 중증도 시스템의 장단점을 보완, 최종적으로 한국인에 가장 적합한 시스템을 마련했다. 여드름 진단기준은 얼굴에 발생한 병변(구진, 결절, 반흔 등)의 개수와 형태에 따라 6단계로 나누었으며 표준사진과 자세한 기준을 병용해 병의원에서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진단기준을 보면 ▦1등급은 지름 5㎜ 이내의 '구진'(적색의 좁쌀처럼 솟아오른 병변)이 10개 이하 ▦2등급은 11~30개의 구진 ▦3등급은 구진 31개 이상과 지름 5㎜ 이상인 '결절' 10개 이하 ▦4등급은 결절 11~20개와 가벼운 진행성 흉터(반흔)가 있는 상태 ▦5등급은 결절 21~30개와 중등도의 진행성 반흔이 있는 증상 ▦6등급은 결절 31개 이상, 심한 진행성 반흔이 있는 증상이다. 여드름 환자에게 흔히 나타나는 비염증성 병변인 면포는 사진상 잘 알아보기 어렵고 물리적인 제거로 호전되며 흉터가 남을 가능성이 적어 대상에서 제외했다. 그 동안 여드름 치료기준은 서양인 기준으로 진단기준표와 사진을 사용했기 때문에 한국인의 피부특성이나 역학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해 치료의 효율성을 높이지 못했다. 또 기존 분류법은 종류가 너무 많고 내용도 지나치게 단순하거나 복잡해 정확성을 결여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번 분류법은 의원과 대학병원에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표준사진과 텍스트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표준사진을 한국인 환자를 이용해 피부 특성이 반영되도록 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삼성서울병원 이주흥 교수는 "수많은 외국의 분류법과는 달리 한국인을 대상으로 역학조사를 통해 가장 적절한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연구"라면서 "앞으로 이번 진단기준을 바탕으로 여드름 치료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작업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