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北, 개성 우리銀에 계좌 개설 추진

2005년 9월 美 금융제재 직전…정부 거부로 무산

北, 개성 우리銀에 계좌 개설 추진 2005년 9월 美 금융제재 직전…정부 거부로 무산 안길수 기자 coolass@sed.co.kr 북한이 지난해 9월 미국의 금융제재 직전에 개성공단 우리은행 지점에 계좌 개설을 요청했던 것으로 뒤늦게 밝혀졌다. 우리은행은 그러나 지점 승인 조건을 이유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북측에 전달했고 북한도 지난 3월 이후 더 이상 요구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혀 이 문제가 일단락 됐다. 19일 통일부와 우리은행 등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해 9월 14일 개성공단 우리은행 지점에 계좌를 개설해 줄 것을 구두로 남측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에 요청했다. 북측은 12월에는 정식 공문을 통해 자신들의 입장을 밝혔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통일부는 외교부ㆍ재정경제부ㆍ국정원 등 관계기관과 대책회의를 열고 ‘계좌 개설이 어렵다’는 우리은행의 입장을 북측에 전달했다. 북측은 “개성공단 남측 근로자들에게서 소득세를 징수하고 공단 북측 근로자들의 임금을 편리하게 수금하기 위해 필요하다”면서 수차례 계좌 개설을 요구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북한이 미국의 금융제재를 피해기 위해 개성공단내 우리은행 지점에 계좌를 열려 한 게 아니냐는 해석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은 지난해 9월 16일 마카오의 방코델타아시아(BDA) 은행을 북한의 돈세탁 창구로 지목하고 이 은행의 북한 계좌를 동결하는 등 대북 금융제재에 나섰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북한이 정상적인 금융 거래 이외의 용도로 계좌 개설을 원했다면 남측 금융당국이 속속들이 들여다볼 수 있는 남측 은행을 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부 당국자는 “개성공단 내에 우리은행 지점이 있기 때문에 북측의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이 계좌를 금고처럼 사용하기 위해서였던 것 같다”며 “북한에 대한 미국의 금융제재와 개성공단 지점의 계좌 개설 요청은 전혀 관계가 없다”고 말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북측과 직접 거래를 할 수 없도록 돼 있기 때문에 계좌 개설이 어렵다고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에 통보했다”며 “개성공단 지점 승인 사유가 남측 입주기업과 남측 종업원의 은행업무만 처리하도록 승인됐기 때문에 어렵다는 입장을 정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입력시간 : 2006/09/19 16:43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