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2008년 폐경환자 평균 55세

2001년보다 2살 높아져

2008년 폐경진료환자의 평균연령은 55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폐경장애는 여성 호르몬 분비 상실로 생리현상이 끊기면서 동반되는 안면 홍조, 우울증, 무력감, 질 건조증 등의 증상을 일컫는다. 21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01~2008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폐경장애 진료환자의 평균연령은 55.1세로 2001년 53.1세에서 두 살 더 높아졌다. 공단은 폐경진료환자의 연령이 높아진 이유는 50대와 60대 이상 여성들이 건강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병ㆍ의원을 찾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연령대별로는 2008년 기준 40대 15만명, 50대 37만4,000명, 60대 이상 17만3,000명이었으며 30대 이하도 7,000명의 진료환자가 있었다. 10만명당 진료환자수는 30대 이하는 2001년 132명에서 2008년 52명으로 나타나 61% 줄었고 40대와 50대는 2001년 5,623명과 1만6,316명에서 2008년에는 3,611명과 1만2,526명으로 각각 36%, 23% 줄었다. 그러나 60대 이상 환자는 2001년 4,499명에서 2008년 4,686명으로 4% 늘었다. 지난해 폐경장애 전체진료환자의 수는 70만4,000명으로 2001년 70만7,000명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