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마리나(요트 정박 관리시설) 건설 열풍

소득 늘면서 해양스포츠 수요 크게 증가<br>"지역활성화 기회" 지자체들 앞다퉈 추진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로 접어들면 테니스에서 골프로 갔던 레저스포츠의 중심이 요트로 옮겨옵니다. 자동차가 아니라 요트를 애지중지하는 ‘마이요트’ 시대가 열립니다.” 해변이나 강을 끼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에 요트를 정박시키고 관리할 수 있는 마리나시설 건설 열풍이 불고 있다. 주5일제 근무가 정착되고 여가시간이 늘면서 레저관광 수요가 내륙산악에서 해양으로 빠르게 옮겨가고 있고 횡축 고속도로 건설이 머지않아 전국 어디서나 1~2시간 내 바다에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지자체들이 너도나도 나서고 있는 것이다. 요트 가격도 중고의 경우 2,000만~1억원대로 떨어졌고 해양수산부도 8,000만원대의 가족형 요트를 개발, 민간에 무상으로 보급해주면서 지난해 하반기부터 기대감이 증폭되고 있다. 실제로 강원도 속초시는 조양동 청초호 주변(엑스포 부지) 6,600평의 부지에 요트 100척을 수용할 수 있는 계류시설ㆍ클럽하우스ㆍ요트정비소ㆍ주차장 등의 마리나시설 설치방안을 마련, 정부의 속초항 기본계획에 반영해줄 것을 건의했으며 내년 착공을 목표로 서두르고 있다. 특히 마리나형 해양리조트도 함께 건설,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경남 남해군은 이미 지난해 4월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 의뢰, 입지선정과 타당성 용역조사를 마쳤고 올해 들어서는 연초부터 민자 유치에 나서고 있다. 남해군은 1~2개월 내에 일본의 어항을 개량ㆍ보완한 형태로 760억원 규모의 마리나시설을 건설하는 양해각서를 투자자와 체결할 계획이다. 전남도는 건립 중이거나 계획 중인 함평, 여수 마리나를 포함해 10개 연안 시군 20곳에 무려 2,800여척의 요트를 수용할 수 있는 마리나시설 확충계획을 마련, 정부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이밖에도 충남 당진, 경북 영덕 등 바다를 끼고 있는 지자체들은 저마다 ‘마리나’를 외쳐대고 있다. 마리나시설 견학을 빌미 삼아 관련 공무원들의 해외 나들이도 줄을 잇고 있다고 한다. 김선종 해양부 해양정책과 사무관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마리나시설 설치 지원을 요청하는 지자체들이 급증해 골치가 아프다”며 “현재 추진 중인 곳만도 무려 41개소에 이른다”고 말했다. 그러나 요트 레저문화가 발달한 유럽이나 중동은 1년 내내 기온이 포근하거나 높고 파도가 높지 않으며 내륙에는 운하가 많이 개설돼 있는 등 요트산업 성장 비용이 적었지만 우리는 제약이 적지않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겨울에는 춥고 가을에는 태풍이 불어 이용기간이 짧을 수밖에 없는데다 파고가 높을 때가 많다는 것이다. 지삼업 부경대 해양스포츠학과 교수는 “해양관광 활성화는 시대의 요구이고 해양레저스포츠는 전진기지인 마리나시설 없이 불가능하지만 지자체가 경쟁적으로 뛰어드는 것은 국가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며 “해양부가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거점 마리나를 지정해 그것을 중심으로 지자체는 땅을 내놓고 정부는 개발비를 지원하고 민자를 유치하는 삼박자를 갖추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