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경기 개선? 추경 반짝효과?

9월 취업자수 46만 늘어 1년來 최대<br>청년 취업 17개월만에 증가


지난달 취업자 수 증가폭이 지난해 동월보다 46만여명 늘어 1년 내 최대치를 기록했다. 20대 청년층 취업자 수는 17개월 만에 증가세로 반전했다. 고용 호조는 추세적으로 볼 때 경기개선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다만 단기요인 측면에서 보면 계절적 특수성과 상반기에 편성했던 대규모 추가경정예산 효과 등에 따른 반짝 호조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는 전년 동월보다 46만3,000명 늘어 2,546만6,000명을 기록했다. 이 같은 증가폭은 지난해 9월의 68만5,000명 이후 가장 큰 수준이다.


이 중 20대 연령층의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3만2,000명 증가했다. 나머지 연령층에서도 취업자 수는 대체로 늘었으나 30대 연령층만 전년 동월보다 3만명 줄었다.

지난 9월의 고용 호조는 추경 등으로 마련된 재정 일자리 사업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된 덕분에 나타났다. 지난달 추석 연휴를 끼고 소비가 활발히 일어난 것도 도ㆍ소매업 관련 일자리가 늘어난 데 기여했다.

지난달 고용률(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 비율)은 전년 동월 대비 0.4%포인트 오른 60.4%로 집계됐다. 이를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 71.4%(0.1%포인트 상승), 여성 49.8%(0.7%포인트 상승)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15~64세 고용률은 전년 동월 대비 0.5%포인트 상승해 65.0%로 집계됐다.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7.7%를 기록해 지난해 9월(6.7%)보다 1.0%포인트 상승했다.

관련기사



산업별로 취업자 수 증가폭을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7만2,000명 증가)이 가장 컸다. 숙박 및 음식점업(8만3,000명)과 금융 및 보험업(3만4,000명ㆍ4.1%)도 취업 호조를 보였다. 다만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2만1,000명 감소), 도매 및 소매업(1만1,000명 감소) 등의 분야에서는 취업자 수가 줄었다.

증가한 취업자 증감폭을 주요 직업별로 분류하면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26만명),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15만3,000명), 증가관리자(-7만7,000명), 기능원 및 관련 기능종사자(-7만2,000명) 등이다.

자영업자는 지난달까지 9개월 연속 줄었다.

9월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44.2시간으로 전년 동월 대비 0.5시간 감소했다. 9월 실업자는 72만명으로 지난해 9월보다 3만2,000명 감소했다. 다만 20대 실업자 수는 급증했는데 이는 9월 11개 지역에서 지방직 공무원 시험이 실시됐던 여파로 파악된다. 20대 비경제활동인구 중 시험을 준비하던 이들이 취업준비자로 분류되다가 9월 공무원시험 이후 실업자 등으로 편입됐다. 구직단념자는 16만5,000명으로 지난해 9월보다 2만명 줄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