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산 버스요금 큰폭 인상에 시민들 반발

"대책없이 부실운영 전가"<br>市 "4년 넘게 안올려 불가피"


부산시가 버스업계 재정지원금 규모가 60%를 초과할 때마다 요금을 인상하는 '버스요금 자동인상' 방안을 확정하며 4년6개월만에 버스요금을 큰폭으로 올렸다. 시민들은 크게 반발하고 있다. 24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물가대책위원회를 열어 일반버스의 성인요금을 교통카드 기준 현재 950원에서 1,080원으로, 현금기준 1,000원에서 1,200원으로 인상하는 안을 확정했다. 청소년은 650원에서 720원(교통카드 기준), 어린이는 250원에서 290원(교통카드 기준)으로 각각 인상된다. 확정된 버스요금 인상안은 결정고시와 버스 단말기 조정작업을 거쳐 다음달 26일부터 적용된다.버스요금이 오른 것은 버스 준공영제와 환승제 실시에 따른 버스업계 손실보전용 재정지원금 규모가 올해는 1,000억원대로 크게 상승했기 때문이다. 시는 또 앞으로 준공영제 운용에 따른 버스업계 적자를 시 재정지원금 50%, 이용자부담 50%로 보전하는 원칙을 마련했다. 재정지원금 비율이 60%를 초과하게 되면 다시 요금을 인상해 재정지원금과 이용자부담 비율을 50대 50으로 맞추게 된다. 시민들은 버스요금 인상과 버스요금 자동인상 방안에 크게 반발하고 있다. 매년 유류비, 인건비 등 운송원가가 오를 것이 버스요금이 계속 오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준공영제를 허술하게 운영한 부산시가 버스요금 인상과 자동인상안을 통해 그 부담을 시민에게 지우고 있다"며 "내실 있는 운영으로 비용절감 대책을 세우는 등 책임 있는 대안을 마련하지도 못하고 무조건 요금만 올리겠다는 시의 결정에 반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부산시는 정책 운영 주체로 책임감을 가지고 요금 인상안 등을 재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시는 "운송원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2006년 5월 버스요금 인상 후 4년 넘게 요금인상을 하지 않았다"며 "자동인상 방안은 필요할 때마다 조금씩 요금을 올려 시민 부담을 줄이려는 조치"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