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 해외선 방폐장 건설 어떻게

안전성에 주민100% 동의해야<br>부지선정 과정선 내홍 겪기도

방폐장은 세계 최대 원전보유국인 미국을 비롯해 원자력 강국으로 인정받는 프랑스 등 세계 33개국 70여곳에서 운영중이다. 이들 선진국은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투명한 절차를 통해 주민동의를 얻어 방폐장 건설에 성공했으나 부지선정 과정에서 적잖은 내홍을 겪기도 했다. 세계2위의 원자력 발전국 프랑스는 수도 파리에서 동남쪽으로 150㎞ 떨어진 로브 지역에 중ㆍ저준위 방폐장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 69년부터 운영해온 라망쉬 방폐장은 용량포화로 94년 폐쇄해 로브 방폐장이 대신 들어섰다. 200ℓ 용량의 드럼 500만개를 처리할 수 있는 로브 방폐장은 향후 40년간 프랑스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폐기물을 수용할 수 있다. 프랑스 정부는 철저한 지질조사로 안전성을 확보하고 주민설득에 나서 별다른 주민반발은 없었다. 프랑스도 방폐장 반경5㎞ 이내의 지역 주민들에게 일시불로 3만 프랑을 지급하고 공공기관 설립 등 지역발전 사업을 통해 경제적 지원에 나선 바 있다. 스웨덴은 바다 밑 동굴 속에 방폐장을 만들어 초기 주민반발을 이겨냈다. 스웨덴 정부는 지하동굴 방폐장의 안전성을 주민들에게 전달하는 데 주력, 신뢰를 쌓았다. 이로써 스웨덴은 포스마크 방폐장 주변 주민들에게 직접적인 보상이나 지원도 전혀 하지 않았다. 일본은 태평양과 맞닿은 혼슈(本州) 최북단 아오모리현 로카쇼무라에 중ㆍ저준위 방폐장을 포함, 핵연료 재처리공장, 우라늄농축시설 등 ‘핵연료 종합처리 단지’를 운영하고 있다. 일본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방폐장 부지선정을 놓고 지역주민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혔으나 지방선거를 통해 방폐장의 안전성과 경제적 효과 등을 명확하게 밝힌 방폐장 찬성파가 선거에 승리, 방폐장 건설을 관철시켰다. 반대파는 “아오모리현에서 생산되는 야채를 먹지 말자”고 일본 전역에 엽서를 발송하기도 했다. 원자력문화재단의 한 관계자는 “안전성에 대해 100% 주민신뢰를 얻은 것이 방폐장을 운영하고 있는 나라들의 공통점”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