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코스닥지수 10배 절상ㆍ스타지수 도입, 시장 체질개선돼야 약효 커질듯

코스닥 기준지수를 10배 높이는 지수단위절상과 스타지수 도입 등이 코스닥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수단위 절상은 영향이 제한적 가능성이 높은 반면 스타지수는 기관과 외국인의 매수세를 끌어 들일 재료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지수단위절상 상징적 효과= 지수단위절상은 1997년 코스닥 지수 출범 이후 7년만에 처음이다. 그러나 실질적인 효과보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클 것이란 분석이다. 손범규 삼성증권 애널리스트는 “착시효과에 의한 분위기 쇄신은 가능하다”며 “그러나 시장이 반등하기 위해선 다른 근본적인 여건이 갖춰져야 한다”고 말했다. 대니엘 유 씨티그룹스미스바니 이사도 “지수만 올려서는 안된다”며 “새로운 파생상품이 만들어지고 인덱스 투자가 활발해지면서 펀드의 투자가 유입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스타지수 긍정적=스타지수는 유명무실한 코스닥50을 대신해 외국인 투자를 유치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신동민 대우증권 애널리스트는 “스타지수는 시장의 검증을 거친 대표기업으로 구성됨에 따라 외국인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유인책이 될 전망”이라며 “스타지수 예비종목도 성장가능성측면에서 상승세를 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기존 기업을 단순히 새로 분류한다는 측면에서 별다른 효과를 내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류용석 현대증권 애널리스트는 “의도는 이해하지만 기관과 외국인을 끌어들일 수 있을 지에 대해선 의문”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스타지수가 성공하기 위해선 ▲코스닥50과의 차별성 ▲스타지수 관련 다양한 파생상품의 등장 등이 필수적인 것으로 지적된다. ◇코스닥, 600 돌파시도= 올 코스닥 시장에 대해 전문가들은 지수 600돌파는 무난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대니얼 유 이사는 “코스닥은 수출보다는 내수를 비추는 거울”이라며 “내수경기가 회복세를 탈 2ㆍ4분기 이후 코스닥지수도 좋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또 “거래소가 앞으로 1,025까지 15% 가량 상승할 것”이라며 “코스닥은 이보다 더 높은 상승률을 보이면서 600선 돌파를 시도할 것”으로 예상했다. 신 애널리스트는 “실적 쇼크를 받았던 인터넷업종과 IT부문에 긍정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며 “현재 지수는 과매도 된 상태로 600선은 충분히 넘을 수 있다”고 말했다. ◇기본체질 개선작업 병행해야= 코스닥시장이 살아나기 위해선 ▲투명성 회복 ▲퇴출 강화 ▲M&A 활성화 등 기본체질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대니엘 유 이사는 “중소형주 투자에 관심있는 투자자들이 믿고 투자할 수 있도록 투명한 시장을 만들어야 한다”며 “M&A가 활발해지면 시장분위기도 달라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류 애널리스트는 “M&A가 활성화되면 좋지만 몇 년째 말만 무성할 뿐 별 영양가가 없었다”며 “실질적인 체질개선이 나타나야만 시장이 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학인기자, 우승호기자 leejk@sed.co.kr>

관련기사



이학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