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는 늘고 있지만 정작 빚을 갚아야 할 가계의 상환능력은 최악의 상황으로 떨어졌다. 살얼음판 위를 걷고 있는 가계의 파산 위험성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명목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은 지난 상반기에 502조79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501조2,095억원보다 0.2% 늘어나는 데 머물렀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은 국민총소득(GNI)에서 해외로 무상 송금한 금액을 제외하고 무상으로 받은 금액을 더해 실제로 국민들이 사용할 있는 소득을 말한다. GNI는 국내 부가가치 생산량인 명목 국내총생산(GDP)에 해외 이자ㆍ배당ㆍ근로소득 등 국외 순수취 요소소득을 가감해 산출한다. 국민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이 상반기 기준으로 이렇게 낮은 것은 지난 1970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그간 명목 국민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이 상반기 기준으로 가장 낮았던 것은 지난 1998년의 2.6%였다. 연도별로는 상반기 기준으로 2002년 10.2%, 2003년 6.0%, 2004년 8.6%, 2005년 3.8%, 2006년 5.0%, 2007년 6.8%, 2008년 8.5% 등이었다. 반면 가계부채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 6월 말 현재 가계신용은 697조7,49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시기의 660조3,060억원보다 5.7% 늘어나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상반기 국민총처분가능소득 대비 6월 말 가계신용(가계 빚) 배율은 1.39배로 지난해 같은 시기의 1.32배보다 0.07포인트 올라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배율은 2001년까지 1배 이하에 머물다 2004년 1.15배, 2005년 1.20배, 2006년 1.26배, 2007년 1.29배, 2008년 1.32배 등으로 계속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에는 1.4배에 육박했다. 더구나 하반기에는 최근 주택담보대출 증가로 더욱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국민들이 소득으로 빚을 갚을 능력이 계속 떨어진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