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감자료] 국립공원 수질오염 '사각지대'

국립공원내 상가.사찰 등 시설물의 대부분이 분뇨와 오수를 계곡이나 바다로 무단 방류하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이 21일 한나라당 權哲賢의원에게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작년 7월 현재 국립공원내 수질관리대상 시설 9천4백83개소 가운데 72%인 6천8백52개소가 오수를 정화하지 않고 그대로 방류하고 있다. 가야산국립공원의 경우 4백70개 시설중 3개만 정화조가 설치돼 있고 99%인 4백67개소는 오수를 계곡에 무단 방류하고 있으며 태안해안공원과 월악산공원도 무단 방류업소가 각각 전체 시설물의 97%에 이른다. 한려해상공원도 5백86개소의 시설물 가운데 96%가 정화조나 종말처리시설을 거치지 않은 오수를 바다로 직접 내보내고 계룡산은 5백46개 수질관리대상 시설의 95%가 오수를 계곡으로 무단 방류하고 있다. 전체 23개 국립공원 관리사무소 관할구역 가운데 10곳이나 오수 무단방류시설의 비율이 90%를 넘었다. 전국 국립공원 관리사무소의 수질측정 담당직원 23명 가운데 수질환경관련 자격증 보유자가 단 2명에 불과한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權의원은 "국립공원내 상가.휴게소.사찰 등에서 발생하는 오수량은 월평균 129만㎥에 달해 계속 무단 방류할 경우 오염문제가 심각해질 것"이라며 "특히 내년 여름에 예정된 한려해상공원 거제해금강지구 몽돌해수욕장에서의 국제 해양스포츠행사를 앞두고 오염방지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국립공원공단측은 "공단 자체의 예산과 인력만으로는 역부족"이라며 "해당 지방자치단체 및 환경부와 긴밀히 협의해 수질개선대책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