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안의 PC'라고 불리며 새로운 인기 정보기술(IT) 제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스마트폰이 정보보안 문제라는 암초에 부딪혔다.
검찰은 최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개인정보를 취득한 혐의로 증권정보 업체와 애플리케이션 개발업체를 기소했다. 이외에도 스마트폰 불법 도용결제 범죄도 발생하는 등 스마트폰 보안에 빨간등이 켜졌다.
언제 어디서나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해 인터넷 및 업무처리가 가능해졌지만 그만큼 보안상의 구멍이 뚫릴 확률도 커졌기 때문이다. 스마트폰 해킹을 노린 각종 악성코드 등이 새롭게 출몰하면서 나의 위치정보ㆍ통화내용ㆍ주소록 등이 줄줄 새는 이른바 '남의 폰'이 되는 좀비화 현상도 우려되는 실정이다.
보안전문가들은 "스마트폰이 해킹 당해 개인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많다는 지적들은 실제에 비해 다소 과장된 측면이 있다"면서도 "하지만 위험성은 충분히 있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한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스마트폰 도입을 통해 모바일 오피스, 스마트 워크를 추진했던 상당수 기업들은 최근 보안문제를 고려해 스마트폰 지급을 재검토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일부 기업에서는 아예 사내에서 스마트폰 사용을 금지하는 등 보안문제에 매우 민감해져 있는 상황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스마트폰에 대해 아예 정보통제를 실시하려는 국가들도 늘고 있다. 미국정부는 스마트폰 통신내용을 감청하는 법안을 준비 중이고 아랍국가에서는 정보통제가 되지 않는 스마트폰 '블랙베리' 사용을 금지하는 조치까지 실시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스마트폰 통신감청에 대한 법률제정 움직임도 일고 있다. 스마트폰을 공공연히 개인정보 사찰의 대상이자 도구로 삼는 분위기인 셈이다.
생활을 편하고 이롭게 하기 위해 개발된 스마트폰이 되레 개인의 사생활을 옥죄는 흉기이자 족쇄로 변하는 형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