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SNS 개인정보 노출 심각


스마트기기 확산으로 이용자가 급속히 늘고 있는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의 개인정보 노출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최근 트위터 사용자 200명을 대상으로 ID만으로 파악할 수 있는 개인정보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ID를 알면 그 사람의 이름, 외모, 가족 정보는 물론이고 의료, 정치성향 , 계좌 정보까지 수집 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조사 대상 200개 ID를 활용해 사용자의 이름을 파악할 수 있는 경우가 88%에 달했고, 인맥(86%), 사진 등 외모(84%), 위치(83%)정보 등도 쉽게 알 수 있었다. 또 관심분야 등 취미(64%), 스케줄(63%), 가족(52%)정보 역시 조사 대상자 가운데 절반 이상에서 파악 가능했다. 의료(29%), 정치성향(19%) 등 민감한 사항으로 분류되는 개인정보도 수집할 수 있었다. 특히 트위터 외에 페이스북, 구글버즈, 미투데이, 블로그 등 다른 SNS를 연동해서 사용하는 ID의 경우에는 계좌번호, 계좌잔액, 신용카드 사용처 등 금융관련 정보가 노출되는 사례도 파악됐다. 하루의 모든 행적을 트위터에 상세하게 알려주고 연관 사진까지 게시한 이용자도 많았다. 인터넷진흥원은 지난 10일부터 나흘간 트위터 ID 200개를 골라 이름, 인맥 정보 등 사용자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는 34개 항목을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을 통해 수집 가능한 지를 조사했다. 한편 방송통신위원회는 SNS에서 과도하게 공개되는 사생활과 개인정보 침해를 예방하기 위해 SNS 이용자와 사용자 보호수칙을 마련해 개인정보보호 포털 사이트(www.i-privacy.kr)와 각종 SNS 사이트를 통해 보급을 시작했다. 방통위 관계자는 “SNS 사용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과도한 사생활 노출 등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개인정보보호 수칙을 마련해 배포했다”며 “불필요하게 공개된 개인정보는 범죄에 악용될 수 있는 만큼 SNS를 이용할 때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