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임금 10% 오르면 소비자물가 3% 상승

소비자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금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공공요금과 환율, 집세도 소비자물가에 영향이 커 물가안정을 위해서는 이들 부문에 대한 집중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은행이 2일 발표한 `2000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물가파급효과분석`에 따르면 모든 산업 분야에서 임금이 10% 변동하는 경우 소비자물가는 3.0%, 생산자물가는 2.8%의 변동 압력을 각각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10% 변동시 물가파급효과는 1985년 2.9%, 1990년 3.2%, 1995년 3.4% 등으로 높아지다 2000년엔 3.0%로 소폭 떨어졌다. 한은 관계자는 “임금의 물가에 대한 파급효과가 약화된 것은 임금상승률이 둔화되고 기업들의 구조조정으로 임금투입비중이 낮아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2000년 기준으로 원화환율이 10% 변동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1.8%, 생산자물가는 2.9%의 변동압력이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또 주요 국내상품(서비스 포함)의 가격이 10% 변동할 경우 소비자물가 파급 효과는 집세가 1.31%로 가장 높았고 외식비 1.11%, 교육비 0.94%, 전화요금 0.49%, 휘발유 0.46% 등의 순이었다. 주요 수입상품의 개별가격이 10% 변동하는 경우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원유가 0.37%로 가장 높았고 천연가스 0.18%, 옥수수와 펄프 각 0.04%, 집적회로 0.03% 등이었다. 이밖에 모든 공공요금이 10% 오를 경우 소비자물가 1.9%, 생산자물가 1.8%의 상승요인으로 각각 작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품목별 소비자물가 파급효과는 전력ㆍ수도ㆍ가스요금이 0.68%로 가장 높고 통신요금 0.41%, 교통요금 0.33%, 의료보험수가 0.21%, 학교납입금 0.16% 등의 순이다. 한은 관계자는 “국내요인에 의한 물가불안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노사간 합당한 수준의 임금인상과 생산성 향상, 경영합리화를 통한 공공요금 인상 요인 흡수, 정부의 장기적인 부동산안정대책 등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이연선기자 bluedash@sed.co.kr>

관련기사



이연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