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35세 이상 임산부, 임신성 합병증 1.5배


35세 이상 임산부, 임신성 합병증 1.5배 송대웅 의학전문기자 sdw@sed.co.kr 35세 이상 고령 임신부의 경우 임신성 당뇨 등의 합병증이 1.5~1.8배가량 높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첫 아이를 고령에 임신한 경우 위험도는 더욱 증가해 철저한 산전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제일병원은 지난해 출산한 산모 6,697명을 대상으로 산과적 합병증을 분석한 결과 35세 이상 고령 산모(2,273명)의 임신성 당뇨 발병률이 5.37%로 34세 이하 산모(4,106명)의 3.19%보다 1.7배가량 높게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태반이 자궁출구를 덮는 전치태반 역시 고령 산모 발병률이 3.12%(71명)로 젊은 산모의 2.05%(84명)보다 1.5배 높았으며 태반이 자궁에 유착되는 비율도 고령 산모(1.28%)가 젊은 산모(0.71%)의 1.8배에 달했다. 특히 같은 고령 산모라도 출산경험이 없는 초산모가 출산경험이 있는 경산모에 비해 합병증 발병 위험도가 높았다. 고령 초산모(1,028명)의 임신중독증 발병률은 3.31%(34명)로 고령 경산모(1,245명)의 1.2%(15명) 보다 2.8배 높았다. 양수과소증도 초산모가 7.98%(82명)인 반면 경산모는 4.58%(57명)로 1.7배 차이를 보였다. 전체 산모 중 고령 산모가 차지하는 비율은 35.6%를 차지해 5년 전인 지난 2005년 14.2% 비해 2.5배 급증했다. 초산 중 고령 산모의 비율도 2009년 21.1% 대비 5.9%포인트가 증가한 27%를 차지했다. 류현미 제일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임산부의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것도 문제지만 고령 산모 중 초산의 비율이 높아지는 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고령 산모이면서 처음 임신한 상황이라면 세심하게 산전관리를 받아야 한다"고 권고했다. [리빙&조이] 앗! 이런것도…몰랐던 생활정보 가득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