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환율 1달러=1,200원으로 떨어지면

■ 산자부등 '환율영향' 분석수출 11억달러·무역수지 26억달러 줄어 올해 평균 원ㆍ달러 환율이 1,200원이 될 경우 수출은 11억달러 줄고 무역수지는 26억달러 악화될 것으로 추정됐다. 또 최근의 환율하락으로 섬유업종이 수출에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으며 의류ㆍ플라스틱 등 일부 업종은 환율기준상 수익구조가 손익분기점 밑으로 내려간 것으로 분석됐다. 6일 산업자원부가 산업연구원 및 무역협회 자료를 취합해 분석한 '최근 환율동향 및 수출입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급격한 환율하락이 수출업체의 채산성 악화와 수출감소로 이어져 무역수지가 악화될 우려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산자부는 "중국과 경합관계가 높은 의류ㆍ플라스틱 등 경공업 제품의 수출감소가 우려되는 가운데 이후 원화가 일본 엔화보다 큰 폭으로 절상될 경우 일본 상품과 경합관계인 자동차ㆍ조선 등도 수출에 지장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산업연구원은 원화환율이 1% 하락할 경우 수출액은 0.11% 줄고 수입액은 0.15% 증가하는 효과가 있으며 올 평균 원화환율이 1,270∼1,200원이 될 경우 무역수지는 6억∼26억5,000만달러가 악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경우 수출액은 2억6,000만∼11억6,000만달러 감소하고 수입은 3억4,000만∼14억9,000만달러 늘어날 것으로 추정됐다. 업종별로는 환율이 지난 3월 말 1,326원에서 5월28일 1,237원으로 하락하면서 섬유업종은 수출이 5% 이상 감소하고 수입은 5% 이상 증가해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의 경우 1∼5%씩 수출감소 및 수입증가, 철강ㆍ가전ㆍ컴퓨터는 각각 1∼5%의 수입증가가 나타난 반면 자동차ㆍ조선ㆍ일반기계ㆍ통신기기 등은 환율하락이 수출입에 미치는 영향이 1% 미만에 그친 것으로 산업연구원은 분석했다. 또 무역협회가 지난달 28일부터 이틀간 40개 수출업체를 상대로 조사한 결과 올해 사업계획 환율을 1,280원 가량으로 잡은 경공업 수출업체는 최근 급격한 환율하락으로 애로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협회가 지난달 초 250개 수출업체를 대상으로 환율과 기업수지 관계를 분석한 결과 경쟁력 유지가 가능한 적정환율은 1,305원, 손익분기점은 1,258원으로 이미 최근 환율(1,220원대)을 감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업종별 손익분기점 환율을 보면 플라스틱 및 고무가 1,274원으로 가장 높았고 의류 및 섬유 1,263원, 생활용품 1,262원, 철강 및 금속 1,254원, 자동차 및 기계 1,248원, 화학 1,248원, 전자부품 1,246원 순이었다. 한편 LG경제연구원은 올해 말 원화환율이 달러당 1,200원까지 내려가면 제조업의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1.4%포인트 감소하고 1,150원까지 급락하면 4.2%포인트까지 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LG경제연구원은 환율하락에 따른 파급효과는 경공업 제품보다 중화학 제품이 더 크다고 분석했다. 원화환율 10% 하락시 매출액 대비 경상이익률은 경공업 제품의 경우 1.2%포인트 하락에 그치는 반면 중화학 제품은 3.0%포인트 떨어지며 특히 수출비중이 높은 섬유, 조선, 조립금속 제품 등이 원화환율 하락에 따른 수익악화 효과가 클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병관기자 이연선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