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09년'행정인턴' 1만840명 선발한다

국고보조금 추가확보돼 채용규모 두배로 늘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채용하는 ‘대졸 미취업자 청년인턴(행정인턴)’이 1만840명으로 당초 계획(5,420명)보다 100% 늘어난다. 행정안전부는 내년 지자체에서 내년 1월까지 지방공무원 정원의 2%(5,640명)를 청년인턴으로 채용해달라는 내용의 ‘지자체 청년인턴십 추진계획’을 마련, 전국 시ㆍ도에 지침으로 내려보냈다고 19일 밝혔다. 행안부는 당초 지방공무원 정원의 1%를 청년인턴으로 채용해달라고 권고했으나 지난 13일 국회를 통과한 내년도 예산에서 관련 국고보조금 155억여원(국고보조비율 25%)이 추가로 확보됨에 따라 채용규모를 2배로 늘렸다. 중앙행정기관과 소속 지방관서에서 채용하는 청년인턴도 정원의 2%(총 5,200명)로 늘리기로 했다. 이에 따라 행안부ㆍ농식품부ㆍ경찰청 등 이미 정원의 1%에 해당하는 청년인턴을 뽑은 부처도 내년 1월 인턴을 추가로 채용하게 된다. 행안부는 또 최근 경제난으로 신빈곤층 등 사회복지행정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지자체 청년인턴을 전국 3,516개 읍면동의 사회복지분야에 우선 배치하도록 권장하기로 했다. 근무조건도 ▦하루 8시간, 약 10개월(12개월 미만) ▦3ㆍ6개월 근무 ▦파트타임(하루 4ㆍ6시간) 근무 등으로 융통성있게 운용해 가능한 많은 대졸자에게 기회를 주도록 했다. 청년인턴은 대졸 미취업자(29세 이하)가 행정기관에서 월 100만원(주 40시간 기준) 가량의 보수를 받고 1년 미만 근무하며 실무경험도 쌓고 얼어붙은 취업시장이 다소 풀릴 때까지 일자리를 마련해주기 위해 도입한 제도다. 한편 행안부는 청년 일자리 확대를 위해 내년에 국가ㆍ지방공무원 채용인원을 당초 3,900명에서 7,400명으로 늘리고 지방공기업 정원의 3%(1,367명)을 채용하라고 권고한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