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우車 살길은 조직 슬림화

대우車 살길은 조직 슬림화 대우자동차의 고강도 구조조정계획은 슬림화가 살길이라는 현실을 바탕에 깔고있다. 법정관리 신청으로 막다른 길에 부닥친 상황에서 안이하게 대처할 경우 법정관리 조차 불투명해지고,유일한 탈출구인 매각작업도 무산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을 담고있다. 대우가 짜고 있는 새로운 구조조정 계획에는 정리해고, 해외법인 정리 등 강도높은 방안을 포함시킬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법정관리에 대비, 최소한의 인력과 비용으로 생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보자는 것. 이종대 회장은 최근 "현재와 같은 비용체제로서는 올해를 넘기기도 힘든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급박한 상황인식은 순환보직제 실시로 현실화되고 있다. 대우는 11월13일부터 내년 1월7일까지 전 직원을 대상으로 순환보직제를 시행하기로 했다. 또 사무직의 경우 시간외근무를 모두 없애고, 생산직도 정규 8시간 근무외에 연장근로를 없앴다. 연월차 휴가를 내년말까지 적극 사용할 것도 권장한다는 방침. 이를 통해 2개월간 총 240억원의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게 회사측의 계산이다. 이 같은 고강도 구조조정은 회사측의 일방적인 결정이어서 노조측의 반발이 예상된다. 특히 정리해고를 둘러싼 갈등은 대우차는 물론 노동계와 재계 전체에도 큰 영향을 줄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대우차 관계자는 "퇴사자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하루 평균 퇴사자는 지난 6일 1차 부도 이후 10명을 넘어서고 있다. 11월 중 퇴사자는 지난 10일 현재 100명을 넘어섰고, 이들의 사무직과 생산직의 비율은 6대4 정도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10월에 하루 평균 5명꼴로 나가던 것에 비해 2배가 넘는 것이다. 임석훈기자 입력시간 2000/11/12 18:15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