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회원.비회원 40여개국중 우리나라 15세 학생(고1)의 학업 성취도가 문제 해결력 1위, 읽기 2위, 수학 3위,과학 4위인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우리 학생들의 수학 등에 대한 흥미도는 매우 낮고 남.여학생간 점수 격차는 아주 커 해결해야 할 과제인 것으로 조사됐다.
OECD는 지난해 30개 회원국과 11개 비회원국의 만15세 학생 28만명을 대상으로4개 부문의 학업 성취도에 대한 평가를 실시해 이런 내용을 담은 `학업 성취도 국제비교'(PISA, Programme for International Assessment) 결과 보고서(이하 PISA 2003)를 7일 오전 8시(한국시간) 전세계에 동시 발표했다.
이 조사는 2000년(이하 PISA 2000, 31개국 대상)에 이어 두번째 실시된 것으로,우리나라에서는 PISA 본부가 선정한 151개 고교에서 5천612명이 참여했다.
PISA는 이와 유사한 국제 학업성취도 조사로 교육과정의 지식을 위주로 묻는 만13세(중2) 대상의 수학.과학 성취도 비교(TIMSS)와는 달리 교육과정의 지식 등을 실생활에서 응용할 수 있는 소양을 평가하는 것이 특징.
PISA 2003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의 읽기영역 평균점수는 534점으로 참가국 가운데 핀란드(543점)에 이어 2위를 차지, 2000년 조사(PISA 2000) 때의 6위에서 4계단이나 뛰어올랐다.
수학은 홍콩, 핀란드에 이어 3위(544점)로 PISA 2000보다 1계단 떨어졌다.
이는 OECD 비회원국인 홍콩이 새로 포함됐기 때문.
과학은 PISA 2000에서는 1위였으나 핀란드, 일본, 홍콩에 추월당해 4위(538점)로 내려앉았다.
그러나 1위인 핀란드(548점)와의 점수차는 10점으로 5위인 리히텐슈타인, 호주,마카오(이상 525점)와의 격차보다 작았다.
올해 처음 평가부문에 포함된 문제 해결력에서는 1위(550점)에 올라 홍콩과 핀란드, 일본 등을 따돌렸다.
결과를 분석한 교육과정평가원은 "그동안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에서 한국이 높은순위를 얻은 이유가 주입식.암기식 교육의 결과이고 한국 학생의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상당히 불식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상위권(상위 5%)의 점수도 읽기가 2000년 20위에서 지난해 7위로, 수학은 5위에서 3위로, 과학은 5위에서 2위로 각각 올랐고 문제 해결력은 3위를 차지, 전반적으로 상위권에 랭크됐으나 전체 학생의 평균성적보다는 순위가 밀렸다.
모든 영역에서 국내 학생간 성취격차가 OECD 평균보다 작아 성취도 불평등도 낮은 것으로 조사됐으나 수학에 대한 흥미(31위) 및 동기(38위) 등은 최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읽기를 제외하고 모든 영역에서 남학생의 성취도가 여학생보다 높았는데그 차이가 문제 해결력이 3번째, 수학.과학이 각각 2번째일 정도로 심각했다.
평가원은 PISA 2000 등과 비교해 ▲순위가 하락한 과학교육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고 ▲상위권 학생의 순위 향상을 위해 수월성 교육을 강화해야 하며 ▲수학과 관련한 흥미, 동기, 자아개념 등을 높여주고 ▲여학생의 수학.과학 성취도 제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강의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