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주가 확실시되던 터키 원전을 막판에 일본에 빼앗길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원전수출에 큰 차질이 우려된다. 한국이 터키 정부와 원자력발전 건설협력 양해각서(MOU)까지 체결하고도 마지막 단계에서 가격 문제로 진통을 겪는 사이 국가 차원에서 저가공세를 펼친 일본이 가로채는 방향으로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터키는 일본과도 조만간 MOU를 체결할 것으로 알려져 자칫 그동안 '공만 들이고 남 좋은 일 시키는 꼴'이 될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지난 10월까지만 해도 터키 원전수주는 거의 확실한 것으로 알려졌다. 11월 초 서울에서 열린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에 맞춰 공식 발표가 있을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그러나 돌이켜보면 축제 이벤트로 삼으려는 조급함이 오히려 터키의 협상력을 키워주는 결과를 초래하고 일본이 그 틈새를 파고들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그동안 일본은 아랍에미리트(UAE) 원전수주전에서 패배한 자존심을 회복하려고 민관합동기구까지 만들어 가격인하 등 총공세를 벌여왔다.
요르단의 교육용 원자로와 UAE 원전수출에 이어 터키 원전까지 수주하면 오는 2030년까지 세계 3대 원전 수출강국에 진입하려는 목표를 앞당길 수 있다. UAE와 달리 재정이 열악해 프로젝트파이낸싱(PF) 방식으로 건설되는 터키 원전수주를 위해서는 전략적인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일본에 비해 열세인 PF대책을 새롭게 마련해 터키 정부와 마지막 절충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원천기술, 선진국의 진입장벽 돌파, 그리고 자금력이 원전수출의 3대 요소이다. 특히 신흥국 원전건설은 대부분 수출국 자금으로 건설하고 전력을 팔아 환수하는 PF방식으로 이뤄진다는 점에서 자금력 강화방안이 절실하다. 민관조직인 '국제원자력개발주식회사'까지 설립하고 저금리를 바탕으로 저가공세에 나서고 있는 일본의 전략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원전수출 초창기에는 입지를 다지기 위해 어느 정도 손해를 감수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원전수출은 단기이익보다 긴 안목에서 추진돼야 한다. 가격에 비해 품질이 좋은 한국형 원전의 장점을 앞세워 터키 정부를 다시 한번 설득함으로써 막판까지 수주전에 최선을 다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