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유명 경제학자들 "위안화 환율 자유화해야"

중국이 인플레이션 억제와 성장 모델의 수정 등을 위해 위안화 환율을 자유화해야 한다고 중국 내 저명한 경제학자들이 촉구해 관심을 끈다. 베이징대 국가발전연구원의 황이핑 교수는 4일자 월스트리트저널(WSJ) 회견에서 “(중국 정부는) 시장에서의 외환 매입을 신속히 중지해야 한다”며 “조건부로 자유변동환율제를 도입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황 교수는 자유변동환율제를 도입해도 주식 등 간접투자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면 급격한 자본이동에 따른 피해를 차단할 수 있고, 하루 환율 변동폭을 5 ~ 10%로 제한하면 가파른 등락에 따른 시장 신뢰의 붕괴도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중국이 현재 채택한 관리변동환율제로 인한 ‘점진적 절상’은 투자자가 추가 환율가치 상승을 기대하게 만들기 때문에 핫머니 규제효과가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황 교수는 또한 위안화 절상이 중국 수출업계에 타격을 입힐 수 있지만 앞으로도 강한 성장세를 지속하려면 부가가치가 높은 상품을 만들거나 생산라인을 개선하는 등의 노력을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황 교수는 환율 문제에서 자신과 뜻을 같이 하는 경제학자로 인민은행 통화정책위원을 역임한 중국사회과학원의 유영딩 교수를 꼽았다. 유 교수는 지난 3월 논문에서 자유변동환율제 도입을 거론하며 “다만 이에 따른 위안화 절상으로 고통 받는 기업과 노동자들에게는 정부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두 경제학자는 자유변동환율제 도입과 관련해 여러 차례 논의하고 인민은행과 재정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등에도 의견을 전달했다고 황 교수는 밝혔다. 한편 중국 정부는 보유 외환이 막대한 외화와 외화채권 가치 변동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새로운 환관리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의 보유외환은 지난 3월 현재 3조 달러를 넘어섰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