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콜금리 0.25%P 전격인상 '가계부담 더 는다'

재산세등 세금 크게 늘고 공공料 줄줄이 인상 대기<br>대출이자도 올라 '3중고'


콜금리 0.25%P 전격인상 '가계부담 더 는다' 재산세등 세금 크게 늘고 공공料 줄줄이 인상 대기대출이자도 올라 '3중고' 김영기기자 young@sed.co.kr 현상경기자 hsk@sed.co.kr 관련기사 • "한국 고금리땐 가계·中企에 압박" • 콜금리 인상..재테크 전략 어떻게 • 콜금리 인상 "내 예금·대출금리는?" • 한은 금통위, 콜금리 연내 또 올릴까 • 콜금리 인상…부동산가격 하락하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8일 콜금리를 연 4.25%로 0.25%포인트 전격 인상했다. 이에 맞춰 은행들도 주택담보대출을 비롯한 여ㆍ수신 금리를 일제히 올리기 시작했다. 일반가계로서는 올해부터 재산세 등 세금이 크게 오른데다 지방선거 후 공공요금이 줄줄이 인상되고 있는 터에 금리인상까지 겹쳐 ‘3중고(苦)’를 겪게 됐다. 이성태 한은 총재는 이날 금통위를 마친 후 가진 간담회에서 “콜금리를 연 4.25%로 상향 조정해 운용함과 동시에 유동성조절대출금리를 연 4.00%로, 총액한도대출금리를 연 2.50%로 각각 0.25%포인트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금통위는 지난해 10월과 12월, 올해 2월 콜금리를 각각 0.25%포인트 올린 후 3개월간 4.00%를 유지해왔다. 이 총재는 “지금의 콜금리 수준은 여전히 경제성장을 뒷받침하기에 충분한 수준”이라며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두면서도 “오는 7월 이후 통화정책은 경기와 물가상황, 금융시장 동향, 자산시장 움직임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균형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운영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금융완화폭을 줄여나갈 방침”이라는 종전의 긴축기조와 다른 뉘앙스로 하반기 금리인상 결정이 매우 신중하게 이뤄질 것임을 시사한다. 금리인상에 따라 가계 대출부담도 한층 커지게 됐다. 기존에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와 연동해 1억원의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사람은 연간 25만원가량 이자를 더 물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은행권 전체 대출 중 부동산담보대출은 32% 정도에 이른다. 이들은 특히 올해부터 크게 늘어난 재산세를 7월부터 내야 해 피부로 느끼는 부담이 더욱 클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공시 가격 2억3,000만원이었던 서울 영등포구 A아파트의 경우 올해에는 2억6,680만원까지 올라 지난해 55만원이었던 보유세도 올해는 68만8,500원으로 14만원 가까이 늘어난다. 여기에 이달 중순부터는 공공요금도 줄줄이 오른다. 경기도 지자체들이 상하수도 요금을 최대 30%까지 올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고 대구와 충남도 등은 버스와 택시 요금, 강릉시는 쓰레기봉투 가격 등을 인상하는 방안을 각각 계획하고 있다. 배상근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가 하강 움직임을 보이는 상황에서 가계의 소비심리도 더욱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며 “양극화를 더욱 심하게 하는 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입력시간 : 2006/06/08 17:19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