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지배구조 불투명성 하나하나 따질 것"

장하성교수, 편법상속등 의혹 여지 많아


“태광그룹은 불투명한 지배구조로 수십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차근차근 하나씩 따져나갈 것입니다.” ‘장하성펀드’로 불리는 한국기업지배구조개선펀드(KCGF)를 주도하며 태광그룹과 전면전에 나선 장하성(사진) 고려대 경영대학장은 지난 18일 저녁 고려대 LG-포스코 경영관에서 기자와 만나 “태광이 주주명부 열람을 허용한다면 잘된 일”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장 교수는 이어 “태광의 (불투명한 지배구조로 생긴) 문제점들을 오래 전부터 지켜봤다”며 “이호진 회장이 중학생 아들에게 편법상속을 했다는 의혹은 그 일부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장하성펀드를 향한 세간의 뜨거운 관심에 대해서는 적잖이 부담스러워 했다. 그러면서도 장하성펀드를 둘러싼 논란에는 명쾌하게 입장을 밝혔다. 국부유출 우려에 대해 장 교수는 “무식한 소리”라며 “태광 지분 대부분은 국내 투자자가 갖고 있고 (외국인은) 5%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건으로 대주주가 가장 큰 이익을 얻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 “투명해지는 과정에서 주가가 오르는 것을 막을 순 없는 일 아니냐”고 대답했다. 그는 또 “국내 금융기관에 여러 차례 투자를 권유했지만 원칙을 지키기 어려우니까 안하려고 하더라”고 전했다. 장 교수는 “지배구조개선을 외치지만 결국 펀드에 투자한 것은 머니게임을 통한 돈벌이 아니냐”고 꼬집자 “대한민국 상거래 중 머니게임 아닌 것이 무엇이냐”고 되물은 뒤 “그 같은 비판은 자본주의와 시장경제를 부정하는 것”이라고 일갈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