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캐나다서 O-157 퇴치약 개발

캐나다 앨버타대학 화학교수인 데이비드 번들 박사는 O157-H7 대장균이 갖고 있는 독소를 붙잡아 체외로 몰아낼 수 있는 「억제분자」를 개발했다고 밝히고 이 분자는 5개의 발과 10개의 손으로 무장하고 있어 「불가사리」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말했다.번들 박사는 과학전문지 네이처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불가사리는 현재 개발중인 다른 0157-H7 억제물질들에 비해 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시험관 실험에서 밝혀졌으며 사람에게서도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면 이 치명적인 대장균을 퇴치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에서 매년 250명의 목숨을 앗아가는 이 대장균의 독소는 혈관으로 들어가 신장을 손상시킴으로써 용혈성요독성(溶血性尿毒性) 증후군이라는 병을 일으킨다. 이 대장균을 억제할 수 있는 백신이나 감염을 치료할 수 있는 약은 아직까지 없다. 번들 박사가 개발한 불가사리는 O157-H7의 2개 독소분자에 달라붙어 이 독소분자가 인체의 세포와 결합하는 것을 차단한다. 미국에서는 매년 약70만명이 대부분 제대로 익히지 않은 햄버거를 먹고 O157-H7 대장균에 감염되고 있다. 이로인해 사망하는 사람은 거의가 5세 미만 아이들이다. 성인이 감염되었을 때는 설사와 위장장애가 나타난다. /워싱턴=AP연합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