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납품 中企에 비용전가 여전

기협, 95개사 조사결과<br>대기업 임금인상·원자재가격 상승분등


최근 대ㆍ중소기업 협력이 강조되고는 있지만 대기업의 비용전가로 인한 중소기업의 납품단가 인하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회장 김용구)가 대기업 납품업체 95개사를 대상으로 ‘중소기업의 납품단가 변동현황’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자동차ㆍ전자ㆍ조선 등 주요 업종 213개 품목의 지난 9월 현재 납품단가지수가 99.1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1월(100)을 기준으로 0.9% 포인트 떨어진 것이다. 특히 응답업체의 44.6%가 “대기업들이 임금인상분, 원자재가격 상승분, 환차손 등을 납품중소기업에 전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중 전자업종의 납품단가지수가 가장 큰 폭으로 하락(3.4%)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나마 자동차 업종은 대기업들이 원자재가격 인상분을 일부 반영하면서 0.6%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응답업체 가운데 68.9%가 ‘적정한 원가분석을 통한 납품단가 현실화’를 우선적인 요구사항으로 내세웠으며 23.3%는 일정 기간 납품 물량 보장을 요구했다. 이와 함께 중소기업의 경영환경도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업체의 80%가 지난 9월말 현재 인건비ㆍ원자재가격 등 생산원가가 지난 1월에 비해 10.7% 올랐다고 응답했으며 특히 조선업종의 경우 생산원가 상승률이 22.3%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장윤성 기협중앙회 산업기술혁신팀 과장은 “중소기업의 납품단가는 떨어진 반면 생산원가는 오히려 크게 올라 채산성이 악화되고 있다”면서 “최근 대ㆍ중소기업간 상생협력 분위기가 조성되고는 있으나 납품단가 등 질적인 협력 면에서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기협중앙회는 중소기업과 대기업간의 하도급 거래에 있어 적정한 납품단가를 책정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의 납품단가 변동조사를 지속적으로 벌이는 한편 대ㆍ중소기업간 상생협력이 질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납품단가 현실화 시책 마련’을 정부 및 대기업에 촉구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