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복귀자 늘어 파업철회 가능성

전공노 파업…사상최대 해직사태 우려

복귀자 늘어 파업철회 가능성 전공노 파업…사상최대 해직사태 우려 • '전공노 징계' 제대로 이행될까 정상업무 구로구청 텅빈 울산남구청 15일 전국공무원노조의 총파업에도 정상업무를 보고 있는 구로구청 민원실(위)과 공무원들이 출근하지 않아 텅 비어 있는 울산 남구청 민원실이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정부가 전공노 파업 가담자에 대해 파면ㆍ해임 등 중징계 조치를 그대로 진행하기로 함에 따라 전교조 파업 당시의 1,500명을 훨씬 넘어서는 대량 해직사태가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파업강도는 민주노총의 활동이 강한 강원ㆍ울산 지역에서 강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복귀자가 늘고 있어 전공노의 파업철회 가능성이 조심스레 점쳐지고 있다. ◇강원ㆍ울산 지역 파업강도 강해=울산 지역의 파업강도가 높은 것은 민주노총 위원장 출신의 이갑용씨가 동구청장으로 있으면서 파업을 적극 지원하면서 빚어진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동구청의 경우 전체 조합원 395명 중 무려 80%에 달하는 312명이 파업에 동참, 구청 업무가 거의 마비되다시피 했다. 울산시에 따르면 지역의 7개 전공노 지부 가운데 북구청과 동구청ㆍ중구청ㆍ남구청에서 모두 1,100여명이 파업해 4곳의 평균 파업률이 60%대를 보였다. 반면 강원 지역은 태백시ㆍ삼척시ㆍ원주시ㆍ춘천시 등 태백산 일대의 광산근로자를 대상으로 민주노총의 활동이 많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강원 지역은 오전9시까지 출근하지 않은 직원이 1,095명으로 이중 207명이 복귀해 정오까지 888명의 직원이 파업에 동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주는 300명이 넘고 동해 190명, 삼척 140명, 춘천은 91명이 가담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공노 파업과 관련 울산시 상수도본부 소속 공무원 12명이 직위해제 조치됐다. 전공노가 파업에 들어간 후 해당 관청이 징계조치를 내린 것은 울산시가 처음이다. 한편 경찰청은 15일 전공노 총파업과 관련, 단체집단행동 참여 등 불법행동을 벌인 전공노 조합원 112명을 연행했다고 밝혔다. ◇파업 상당 기간 지속 전망=파업의 열기는 징계절차가 구체화되면서 강도가 상당 수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일단 이날 오후부터 직위해제 등 징계절차가 시작되고 4일 후 파면ㆍ해임 대상자가 결정되기 때문에 참여 공무원들이 흔들리지 않고 투쟁을 벌이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파면될 경우 연금의 절반을 받지 못하고, 파면과 해임될 경우 공직 복직이 각각 5년, 3년 내에 불가능해지는 상황을 무시할 수 없다. 특히 4~5일 후에는 집행부가 대부분 파면이나 해임될 가능성도 높다. 그러나 전공노는 민주노총의 총파업일인 오는 26일까지 최대한 끌어가려고 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원천봉쇄 움직임을 간파하고 대의원대회에서 이미 파업을 결의해둘 정도로 주도면밀한 작업을 해왔고 집행부 해체시 제2의 집행부도 준비된 것으로 보인다. 이나리 전공노 언론부장은 “(대량 해직사태) 정부가 초래한 것으로 대화기피에 대한 책임을 요구할 것”이라며 “원천봉쇄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으로 산개 파업활동을 벌이고 일부는 태업, 중식 집회 등 준파업사태를 유지하며 선전활동을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현환기자 hhoh@sed.co.kr 입력시간 : 2004-11-15 19:36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