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현재 환율, 경상흑자 위협 수준"

박종규 선임연구위원 "원화, 엔화.위안화와 탈동조화 필요"

원.달러 환율이 8년간 지속된 경상수지 흑자를 보장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앞으로 경상흑자 유지와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원화 환율 엔화나 위안화 환율에 동조화되는 현상을 막아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국금융연구원 박종규 선임연구위원은 19일 `경상수지와 환율' 보고서를 통해 "지난 8년간 경상수지 흑자의 핵심요인은 환율"이라며 "외환위기 이후 일부 수출상품은 기술발전, 고도화 등으로 환율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게 됐다는 분석도 있으나 총 수출입이나 경상수지는 아직도 환율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설명했다. 박 연구위원은 그러나 "5월 현재 원화환율은 이미 경상수지 흑자를 보장하기 어려운 수준에 도달했다"며 "지금과 같은 환율하락세가 향후에도 지속된다면 원화약세에 의존하는 경상수지 흑자기조는 더 이상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앞으로 조만간 세계적 불균형 해소차원에서 주변국 환율이 본격 하락할때 원화환율이 그들 국가의 환율과 동반 하락하지 않도록 해야한다"며"과연 그런 일을 피할 수 있느냐가 향후 수년간 경상수지와 경제 성장을 위해 매우 중요한 핵심적정책과제로 부각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