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北 "6자회담서 우라늄 농축 논의 반대 안해"

"남북한-러시아 철도ㆍ가스관ㆍ송전선 건설 긍정 검토"

(자료사진)

우라늄 농축시설 IAEA 사찰단 접근도" 북한이 우라늄 농축 문제를 6자회담에서 논의하는데 반대하지 않으며, 남북한과 러시아를 잇는 철도ㆍ가스관ㆍ송전선 건설도 긍정적으로 검토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북한은 외무성 대변인은 15일 조선중앙통신 기자와의 문답 형식을 빌어 "전제조건 없이 6자회담에 나갈 수 있고, 6자회담에서 우라늄 농축 문제가 논의되는 것을 반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북한의 이 같은 입장은 최근 한미 양국 정부가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 문제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제기하려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특히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에 대한 유감 표명 등을 요구해온 남한 정부의 입지를 약화시키고, 중국ㆍ미국 등 다른 6자회담 당사국과의 갈등을 조장하기 위한 의도도 담긴 것으로 해석된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외무성 대변인은 알렉세이 보로다브킨 러시아 외무차관의 방북 결과를 전하면서 러시아가 북한에 ▦핵실험ㆍ탄도미사일 발사의 임시 중지 ▦영변의 우라늄 농축시설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IAEA) 전문가들의 접근 ▦6자회담에서 UEP 문제 논의 등 건설적인 조치들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와 관련,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6자회담이 재개되면 러시아 측이 제기한 기타 문제들도 동시행동 원칙에 따라 한반도 비핵화를 실현하기 위한 9ㆍ19 공동성명의 이행과정에서 논의ㆍ해결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6자회담이 원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경우 미사일ㆍ핵 실험의 일시중단을 선언하거나 IAEA에 사찰단 복귀를 요청할 수도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변인은 또 러시아 측이 남북한과 러시아를 연결하는 철도ㆍ가스관ㆍ송전선 건설을 위한 3자간 경제협력을 제안했으며, 북한은 이를 실현하기 위한 3자 실무협상 제안이 나오면 긍정적으로 검토할 용의가 있음을 밝혔다. 이에 따라 남북한을 관통하는 가스관ㆍ송전선 건설, 한반도종단철도(TKR)와 시베리아횡단철도(TSR) 연결 사업 등을 위한 논의가 러시아의 중재로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속보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