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현대중공업, 대형엔진생산 1억 마력 달성

현대중공업이 세계 최초로 선박용 대형엔진 생산누계 1억 마력 돌파라는 대기록을 수립했다. 현대중공업은 29일 울산 엔진공장에서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2척에 탑재될 4만 마력과 4만3,000 마력 엔진 2기의 시동식을 열고 대형엔진 누적 생산 1억313마력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1979년 6월 첫 엔진을 생산한 지 31년 만의 기록으로 대형엔진 대수로는 3,370대에 이른다. 이날 현대중공업은 1억 마력 달성을 기념하기 위해 엔진기계사업본부 본관 앞에 높이 3.1m의 현대 로고 조형물을 설치했다. 민계식 회장, 이재성 사장을 비롯한 현대중공업 임직원 및 국내외 조선ㆍ해운 관계자 3백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막식을 열었다. 1억 마력은 현대차 쏘나타급 중형차 약 60만 대가 내는 출력이다. 이번 기록은 엔진 생산 역사가 100여 년에 이르는 유럽과 일본의 대형엔진 메이커들보다 수십 년 이상 앞선 기록이며 세계 2~3위권 업체와 비교해도 3,000만 마력 이상의 격차가 난다. 현대중공업은 대형엔진 생산 13년 만인 지난 1992년 1,000만 마력을 돌파한 이래 2005년 세계 최초로 5,000만 마력을 달성했으며, 2006년부터 매년 1,000만 마력 씩을 늘리며 매년 세계 최초, 최대 기록을 갱신해왔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1988년부터 이 부문 세계 1위를 지켜오고 있으며 현재 세계 선박엔진 시장의 35%를 점유하고 있다. 지속적인 투자로 현재 연간 대형엔진 1,400만 마력, 중형엔진 500만 마력 등 세계 최대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유승남 현대중공업 엔진기계사업본부장은 “1970년대 말 수입에 의존하던 선박용 엔진을 국산화함으로써 우리나라 조선 산업이 세계 1위로 올라서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면서 “1억 마력 달성은 하나의 기록을 넘어 한국 조선의 역사와 함께 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중공업이 처음 엔진을 생산한 1979년 당시에는 미쓰이, 미쓰비시, 히타치 등 일본 업체들이 세계 시장을 장악하고 있었다. 정주영 창업자는 수입 엔진의 비싼 가격, 납기 지연 등의 문제를 돌파하고자 1978년 엔진공장을 준공했다. 엔진은 통상 선가의 10% 선을 차지하며 엔진 수급은 선박 납기와 직결된 문제이기도 해 조선산업 발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현대중공업 대형엔진 생산누계 현황 ▦1979년 6월=엔진 생산 시작 ▦1992년. 11월=1,000만 마력 달성 ▦1997년 12월=2,000만 마력 달성 ▦2001년 4월=3,000만 마력 달성 ▦2003년 7월=4,000만 마력 달성 ▦2005년 5월=5,000만 마력 달성 ▦2006년 8월=6,000만 마력 달성 ▦2007년 10월=7천만 마력 달성 ▦2008년 10월=8천만 마력 달성 ▦2009년 9월=9,000만 마력 달성 ▦2010년 9월=1억 마력 달성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