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판매채널 확대등 경쟁 강화 펀드 보수 인하 유도해야"

[자본시장연구원 보고서] “자산운용사 설립장벽 낮추고 펀드판매 채널 확대해야”

자산운용사 설립 장벽을 낮추고 펀드 판매 채널을 확대하는 등 펀드 시장의 경쟁구도 강화를 통해 펀드 보수 인하를 유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7일 자본시장연구원은 ‘국내 자산운용시장 경쟁구조에 대한 연구’라는 보고서를 통해 “국내 자산운용시장의 경쟁구도가 아직 정착되지 않아 운용사 스스로 펀드 보수를 깎으려는 움직임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진단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자산운용사의 펀드 판매가 보수의 높낮음 보다는 과거 수익률과 판매사의 마케팅 전략에 따라 좌우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판매사가 계열 운용사의 펀드 판매에 주력하다 보니 펀드별 보수 등 특성에 따른 경쟁구도가 잘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지적됐다. 김재칠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자산운용시장의 경쟁구도를 강화해 장기적으로 펀드 판매보수 인하를 이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자산운용사 신규 설립 진입장벽을 낮춰 다양한 종류의 펀드가 시장에 제공될 필요가 있다고 분석됐다. 또 펀드 판매 채널을 대폭 늘려 판매사간 경쟁을 유발시키는 방안도 제시됐다. 김 연구위원은 “펀드 투자 설명서에 보수율이 아닌 투자단위금액 별 보수금액을 기재하고 판매보수ㆍ판매수수료로 이원화된 펀드 가격 체계를 ‘판매수수료’로 일원화해야 한다”며 “투자자들이 펀드 보수를 쉽게 알 수 있게 해 가격 경쟁 구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