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러 "北 비난받아 마땅"… 中과 다른 행보 속내는?

외무부 공식입장 ‘북한 비난 받아야’…美ㆍ中 견제 차원인 듯

러시아가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을 정면 비난하고 나서 한반도 외교전에 미묘한 변화가 예상된다. 러시아 외무부는 30일 홈페이지에 공식입장을 내고, “남북관계의 악화와 관련해 한반도 상황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는 과정에서 러시아측은 한국 영토에 대한 포격과 그에 따른 사상자 발생과 관련해 북한이 비난 받아 마땅하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앞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교장관이 연평도 포격 당일인 23일 “남한의 섬에 대한 포격을 주도한 자들은 분명히 큰 책임을 져야 한다”고 밝힌 데 이어 이날 입장 표명은 두 번째다. 그러나 러시아 외무부의 이번 공식 입장은 북한을 도발의 주체로 특정해 정면 비난을 가한 것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와 무게 감은 분명히 다르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그 동안 러시아가 한반도 문제만큼은 중국과 보조를 맞춰왔다는 점에서 최근 잇따라 북한을 비난한 입장은 주목된다. 일각에서는 ‘한ㆍ미ㆍ일’ 대 ‘북ㆍ중ㆍ러’로 흐르던 대결구도에서 러시아가 이탈해 그들만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러시아가 중국과 달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부 논의에 적극성을 보이는 것도 이런 맥락이라는 풀이가 나온다. 이번 사건을 안보리로 끌고가 미ㆍ중 구도가 아니라 P5(상임이사국 5개) 중심으로 대응방향을 논의하려는 전략적 행보라는 것이다. 실제로 정부 고위당국자는 "러시아의 이번 입장표명은 종전에 비해 확실히 진화(進化)한 것으로 봐야 하며, 의미를 두고 평가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물론 러시아의 입장표명은 일단 이번 사안의 성격상 북한의 책임이 워낙 명백하고 그에 따라 주요국가들이 앞다퉈 대북 규탄성명을 내놓고 있는 국제사회의 분위기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와 현지 주러 대사관 등 정부 당국 차원의 외교적 교섭노력이 크게 작용했다는 얘기도 나온다. 그러나 러시아의 입장정리는 국제정치적 관점에서 보다 면밀히 관찰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적지 않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