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남북정상회담] 뒷거래, 있었나 없었나

한나라 "대선 겨냥 뒷거래 합의 의혹" <br>정부 "투명하게 진행됐다" 전면 부인

한나라당은 8일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남북 정상회담 개최와 관련, 모종의 ‘뒷거래’ 의혹을 제기했다. 정상회담이 오는 12월 치러지는 대통령선거에서 선거구도를 통일세력 대 반통일세력로 끌고 가려는 정부ㆍ여당의 의도가 반영됐으며 이를 성사시키기 위한 ‘대가’를 북측에 지급했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김대중 정부 때인 지난 2000년 1차 정상회담 때 대북송금 의혹이 제기되고 이어 특검수사로까지 이어진 전례가 있다는 점도 한나라당이 뒷거래 의혹을 제기하는 근거다. 정보통인 정형근 한나라당 최고위원은 “6ㆍ15공동선언이 돈 뒷거래로 이뤄졌다면 이번 선언은 정치적 뒷거래로 합의된 의혹이 짙다”며 “과거 김 전 대통령 시절 정상회담 사례와 북한의 대남관계 행태를 볼 때 (금전거래) 가능성이 있다. 더 지켜보고 확인할 문제”라고 주장했다. 정 최고위원은 또 “민감한 시기에 장소가 평양으로 결정된 것 등을 볼 때 정치적으로 이용당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다음 정권으로 미루는 게 옳다”며 “핵 폐기를 위한 구체적 내용의 정상회담이라면 몰라도 정치적 거래에 의한 어젠다가 선정된다면 정부 여당에 오히려 부메랑이 돼 돌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는 이런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김만복 국정원장은 “남북간에는 여러 가지 채널이 있고 비공개 채널도 있다”고 전제한 뒤 “정상회담을 추진하면서 이런 채널이 다 활용됐으나 아주 투명하게 진행됐다”고 못박았다. 그는 “그 부분에 관해 참여정부의 정신이 그대로 살아 있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백종천 청와대 안보실장은 ‘대선용’이라는 시각과 관련, “이번 회담은 2ㆍ13합의 초기 단계에 진입하면서 자연스레 결정된 것으로 국내 정치상황과는 무관하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