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해당 中企들 자금압박 불가피

코로마스펀드, P-CBO 중도상환 요구 파장

해당 中企들 자금압박 불가피 코로마스펀드, P-CBO 중도상환 요구 파장 • 해외 P-CBO 발행기업 및 발행액 코로마스펀드가 P-CBO 중도상환을 요구함에 따라 이 펀드를 통해 자금을 조달했던 국내 중소기업들이 상당한 자금 압박을 받을 것으로 우려된다. 이 펀드는 국내 59개 중소기업들이 발행한 신주인수권부 사채(BWㆍ3억4,400만달러)를 기초자산으로 해서 해외 P-CBO 형태로 발행된 것으로 산업은행이 58%, 기술신용보증기금이 25%, 중소기업진흥공단이 17% 신용보증을 섰다. 당초 이 펀드는 34개 코스닥 등록사와 25개 비등록사 등 총 59개사로 구성됐으며 이 가운데 12개 기업은 이미 부도가 난 상황이다. 이 펀드를 통해 자금을 조달했던 A기업의 대표는 “정부가 은행권에 무차별적인 자금회수를 하지 말라고 해놓고 정부기관들이 보증을 선 이 펀드를 전액 상환하라는 것은 무리”라며 “지금 갚을 돈이 없다는 것 뿐이지 현금 유동성에 별 문제가 없는 기업들이 이 펀드 상환 때문에 부도가 나서는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B기업의 대표는 “우리회사를 비롯 펀드에 속한 많은 기업들이 일부만 상환하고 나머지는 연장을 요구하고 있다”며 “이미 몇몇 기업이 부도가 난 상황에서 남아있는 기업들은 주로 수출기업들인데 이들을 부도 내봐야 별다른 실익이 없는 만큼 업체들의 여건에 따라 부분 상환 후 잔여금액에 대한 만기 연장이 최적의 방안”이라고 말했다. 기술신보 관계자는 이에 대해 “채권발행 주체가 해외에 있기 때문에 해외 구좌를 통해 결제하는 방식이어서 개별 기업들이 얼마나 상환했는지 파악하고 있는 중“이라며 “보증을 선 산은과 기보 중진공 3개 기관 담당자들이 14일 오후 대책회의를 통해 해결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자산관리팀이 개별기업들의 상환능력을 파악하고 있는 만큼 적정 수준의 원금과 이자 등을 상환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연장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중진공 관계자는 “갚을 능력이 있는 기업들도 갚지않는 도덕적 해이가 발생할 수 있다”며 “보증기관들이 구제방안을 마련한다고 하더라도 극히 선별적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의식 기자 miracle@sed.co.kr 입력시간 : 2004-12-14 17:5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