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이전 공공기관 본사 땅 '개발논의 급물살 탈듯'

한전·감정원·국방대학 부지등 알짜 수두룩<br>신도시내 땅은 용도변경 허용 여부가 관건<br>신규 택지 구득난에 기업들 벌써부터 군침


이전 공공기관 본사 땅 '개발논의 급물살 탈듯' 한전·감정원·국방대학 부지등 알짜 수두룩신도시내 땅은 용도변경 허용 여부가 관건신규 택지 구득난에 기업들 벌써부터 군침 정두환기자 dhchung@sed.co.kr 지난 6일 열린 제1차 당정 부동산협의회를 계기로 176개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에 따른 기존 본사부지 개발논의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지난달 말 이전대상 지역 확정을 통해 ‘매각’의 원칙이 마련된데다 향후 ‘개발을 통한 중대형 아파트 공급’이라는 원칙이 덧붙여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비록 이번 협의회에서는 한국전력 부지만 언급됐을 뿐이지만 이밖에도 상당수 이전기관들이 서울ㆍ수도권 일대에 알짜 본사부지를 보유하고 있어 정부가 전반적인 개발계획을 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알짜 개발부지 많아=176개 공공기관 본사 가운데 가장 관심을 끄는 곳은 역시 서울 강남구 삼성동 한전 본사. 강남의 금싸라기 땅인데다 부지규모가 2만4,000평에 달한다. 최고가 아파트 중 하나인 삼성동 아이파크(9,700평)보다 부지면적이 2.5배나 넓어 아파트가 건립될 경우 강남의 새로운 랜드마크가 되기에 손색이 없다. 개별공시지가만도 6,500억원에 달하며 주변 시세를 감안하면 땅값이 1조원을 넘는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한전부지가 매물로 나온다면 최근 과열논란을 빚었던 뚝섬 상업용지 매각 이상의 관심이 모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감정원(강남구 삼성동ㆍ3,300평) 본사부지도 강남 요지에 자리잡고 있어 주목된다. 은평구 수색동 국방대학은 부지면적이 9만7,000평으로 웬만한 택지지구 못지않다는 점에서 눈길을 모은다. 특히 이 일대의 주거환경이 열악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개발을 통해 인근 은평 뉴타운과 연계한 서북권의 중심 주거타운으로 조성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수도권에서 가장 눈길을 모으는 곳은 농업기반공사. 주변이 대규모 아파트촌으로 탈바꿈하고 있는데다 부지면적이 3만여평에 달해 중대형 아파트 수요를 충족시킬 적지로 꼽히고 있다. ◇신도시 용도변경 허용 여부가 관심=분당 신도시 내에 자리잡고 있는 공공기관 본사부지의 아파트 개발허용 문제 역시 뜨거운 화두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다. 토지공사ㆍ주택공사ㆍ가스공사 등이 분당에 본사를 둔 대표적인 공공기관이다. 만약 이들 본사부지가 아파트용지로 탈바꿈할 경우 인근지역은 물론 서울 강남권의 신규 아파트 수요까지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문제는 이들 본사부지가 모두 업무용지인데다 택지개발지구 내여서 도시계획 변경이 만만치 않다는 점이다. 하지만 과거 정자동 일대 땅들이 주상복합 용도로 변경된 전례가 있어 정부의 의지만 있다면 안될 것도 없다는 분위기다. 이밖에 성남시 금토동 도로공사 부지 역시 지금은 자연녹지로 묶여 있지만 주거지역으로 용도변경될 경우 판교 신도시 못지않은 관심을 모을 수 있을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기업들 벌써 군침=공공기관 이전부지에 대한 아파트 개발 가능성이 제기됨에 따라 건설업체 등 기업들도 벌써부터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수도권 일대 신규 택지 구득난이 심각한 상황에서 이들 부지가 매물로 한꺼번에 쏟아져 나올 경우 업계에는 ‘가뭄의 단비’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A건설사 관계자는 “공공기관 부지는 대부분 굳이 입지여건을 설명할 필요조차 없는 요지들”이라며 “공개매각이 된다면 대형 업체는 물론 중견업체나 사업시행자 등 업계 전체가 들썩거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분위기를 반영하듯 실제로 SㆍP사 등 일부 개발업체들은 벌써부터 이전대상 공공기관 부지들에 대해 개발 가능성 등 타당성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입력시간 : 2005/07/07 16:21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