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투자자 “日부동산 사들이자”

日시장 회복세 기대 크고 금융부담은 적어<br>세이부철도 총 20억弗 규모 매물 매입경쟁<br>골프장등 투자대상 다양화·규모 대폭확대


미국의 ‘일본 사들이기’가 시작됐다. 이는 지난 80년대 일본 자본이 맨해튼의 록펠러센터 등 미국의 부동산을 닥치는대로 매입하면서 미국 사회에 충격을 줬던 것과 정반대 현상이 시작했음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3일(현지시간) 월가(街)에 따르면 미국 투자은행들 사이에 일본 부동산 매입 경쟁이 불 붙고 있다. 모건스탠리ㆍ골드만삭스ㆍ리만브라더스 등은 일본 세이부철도가 매각을 고려중인 호텔ㆍ골프장ㆍ스키리조트 등 총 20억달러 규모의 부동산을 매입하기 위해 경쟁을 하고 있다. 투자규모가 늘어나는 가운데 투자대상도 다양화하고 있다. 모건스탠리는 올 초 도쿄 중심부 미쓰비시자동차 본사 건물을 14억달러에 매입했고, 골드만삭스는 현재 90곳이 넘는 일본 골프장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 최대 창고ㆍ배송센터 소유기업인 프로로직스는 일본 부동산 투자 규모를 당초 20억달러에서 50억달러로 늘릴 계획이며, 미국 최대 상가운용기업 사이먼 프로퍼티 그룹도 일본 비즈니스를 대폭 확장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자본이 일본 부동산에 군침을 흘리는 것은 오랜 디플레이션 속에 일본의 부동산 가격이 지난해까지 14년 연속 떨어진 반면 도쿄 중심가 땅값은 조금씩 계속 상승하며 부동산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 일본이 회계법을 강화해 투명성이 높아진 점과 ‘제로금리’ 덕택에 금융차입 부담이 가벼워진 것도 일본 부동산의 매력을 높이는 요인으로 보인다. 지난 2001년 도입된 후 200억달러 규모로 성장한 부동산투자신탁시장도 일본 부동산에 관심을 갖게 하는 요소로 지적된다. 일본 부동산에 대한 관심은 최근 로이터 주최로 뉴욕에서 열린 부동산 세미나에서 잘 나타났다. 이 모임에 참석한 인사들은 미국 부동산 회사와 투자은행들이 종류를 가리지 않고 일본 부동산 확보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CB 리처드 엘리스의 브렛 화이트 최고경영자는 “일본 부동산 시장이 전형적인 반전 시점에 와있다”면서 “미국 자본이 지난 몇 년 간 일본 부동산을 겨냥해 계속 돈을 집어 넣어온 것도 이런 판단 때문”이라고 말했다. 반면 일본 부동산 매입에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도 일부에서 나오고 있다. 미국 부동산재벌인 샘 젤은 “일본 부동산 쪽에는 여전히 규제가 많다”면서 “일본 부동산시장에 너무 많은 기대를 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일본이 부동산투자신탁시장을 육성하고는 있으나 미국에 비해 여전히 크게 낙후돼 있다는 점도 명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