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은 “금융위기 올수있다” 경고

한국은행은 13일 부동산값급등과 가계대출급증세가 꺾이면 금융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국은행은 이날 `금융위기 전후 우리나라와 북유럽 3국의 은행경영비교`라는 보고서를 통해 “스웨덴ㆍ노르웨이ㆍ핀란드 등 북유럽 3국이 80년대 후반 금융자유화 등으로 가계대출이 급증하고 부동산가격이 급상승한 뒤 90년대 초반 부동산가격하락과 함께 금융위기를 겪었다”며 “우리나라도 비슷한 상황에 있는만큼 미리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북유럽 3국은 80년대 후반 실물경기호황으로 부동산과 주식시장이 급등하면서 부동산관련 대출을 중심으로 금융기관 대출이 크게 늘었었다”고 상기시킨 뒤 “그러나 90년대를 전후해 실물경기가 둔화되고 거품이 꺼지면서 부동산가격이 급락했고 이에 따라 관련대출의 담보가치하락과 원리금연체증가로 금융위기를 맞았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따라서 우리나라도 가계대출을 중심으로 급격히 증가한 대출자산의 위험관리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은 분석 결과 국내 일반은행의 원화대출금이 총자산에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1997년말 36.4%에서 지난해말 57.8%로 급상승했으며 지난해 대출금(원화) 증가율(29.5%)은 외환위기를 맞은 1997년과 같았다. 또 총자산에서 가계대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1997년말 11.8%에서 지난해말 29.7%로 2배 이상 늘었다. 보고서는 외환위기후 가계대출이 매년 40%대의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어 경기악화로 거품이 꺼질 경우 가계대출의 대규모 부실화가 우려된다고 경고했다. <성화용기자 shy@sed.co.kr>

관련기사



성화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