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오늘의 경제소사/5월10일] 세포이 항쟁


1857년 5월10일, 인도 메러트시. 영국 동인도회사의 식민지군에 소속된 인도인 병사(Sepoy)들이 총을 들었다. 저항의 표면적 이유는 신형 소총. 화약과 탄알(쇠공)을 따로 장전하는 구식 소총 대신 화약ㆍ탄알 일체형 탄약을 사용하는 ‘1853년식 엔필드 소총’에 딸려 나온 소나 돼지 기름을 묻힌 탄약포가 문제였다. 힌두교와 이슬람 세포이들은 탄약포를 입으로 물어뜯은 후 장전해야 한다는 사실에 더욱 놀랐다. 종교적 금기를 입과 맞추게 한 처사가 기독교로의 개종을 유도하기 위한 술수라고 여겼다. 마침 연간 400만 파운드씩 짜내던 영국의 경제침탈로 불만이 높아진 상황. 세포이 총병력 25만7,000명 중 주력인 중남부 주둔 10만 세포이가 봉기하자 민중이 따라붙었다. 저항의 불길은 순식간에 델리를 넘어 인도 전역으로 번졌다. 결과는 세포이의 패배. 영국의 신무기와 귀족들의 배신, 시크교도와 네팔 쿠르카 용병의 영국 합류로 1년 만에 주요 거점을 잃은 후 유격전을 벌였으나 1859년 4월 최후의 저항마저 멈췄다. 세포이 항쟁 이후 영국은 인도를 동인도회사를 통한 간접통치에서 직할령으로 바꿨다. 경제는 더욱 망가졌다. 항쟁 이후 영국의 공업억제책으로 인구의 50% 수준이던 농민 비중이 75%로 늘어났음에도 1890년까지 1,500만명이 굶어죽었다. 독립 직후 파키스탄과 갈라진 것도, 테러와 보복의 악순환이 거듭되는 시크교도 문제도 항쟁 이후 본격화한 영국의 지역과 종교ㆍ계층에 대한 이간ㆍ분열책 탓이다. 세포이 항쟁 150년. 역사에 영원한 승자는 없다. 인도의 역동성은 영국에 비할 바가 아니다. 인도공과대학(ITT) 학생들은 전세계 최고의 인재로 꼽힌다. 11억 인도의 질주에는 세포이 항쟁의 정신이 깔려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