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삼성 실검 장악, ‘대학총장 추천제’ 논란…“우리 학교는 몇 명?”


삼성그룹이 신입사원 채용 과정에서 총장이 추천할 수 있는 인원을 대학별로 차등 배정해 화제다.

삼성그룹은 대학별로 총장의 추천인원을 차등 배정하면서 온라인 실시간 검색어를 장악하고 있다. 이에 삼성 측은 그동안 합격률과 대학별 학과 특성을 고려해 배정했다고 설명했지만, 일각에서는 국내 최대그룹 삼성이 ‘대학 서열화’를 조장했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


삼성그룹은 지난 15일 서류전형을 강화하는 내용 등의 ‘신입사원 채용제도’ 개편안을 발표하면서, 각 대학 총장이 추천하는 인원은 서류전형을 면제해 주겠다고 밝혔다.

그 후속 조치로 삼성은 각 대학에 총장이 추천할 수 있는 인원을 통보했다.


27일 각 대학에 따르면 성균관대가 가장 많은 115명(저소득층 인원 제외)의 추천인원을 할당받았고, 서울대와 한양대에 각각 110명, 경북대와 연세대, 고려대는 각 100명씩을 배당받았다.

관련기사



그 뒤로는 부산대(90명)와 인하대(70명), 경희대(60명), 건국대(50명), 중앙대·부경대·영남대·아주대(45명), 전남대·동국대(40명), 광운대(35명) 순으로 추천 인원이 많았다.

특히 재단이 삼성그룹과 연관된 성균관대가 가장 많은 인원을 배정받은 것을 두고 특혜 논란도 제기됐다. 그뿐만 아니라 지방대학 중에서도 호남보다 영남 지역 대학이 혜택을 받았다는 불만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영남권의 경북대와 부산대는 각각 100명, 90명을 할당받았지만, 호남권의 전남대와 전북대는 각각 40명, 30명을 배정받았다. 이 외에도 영남에서는 부경대(45명), 영남대(45명) 등은 서울의 주요 대학보다 더 많이 할당받았다. 또, 여대 중에서는 이화여대(30명)의 할당 인원이 가장 많았고, 그 뒤로는 숙명여대(20명), 서울여대·성신여대(각 15명), 동덕여대(13명), 덕성여대(10명) 등이었다. 반면, 서울소재 종합대학의 경우에는 추천인원이 30명이 넘는 곳이 많아 여대의 추천인원이 상대적으로 작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삼성 측은 “이공계 등에 특성화된 대학 등을 중심으로 추천인원을 배정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삼성의 실검 장악에 누리꾼들은 “대학 서열화가 눈에 보인다”, “너무 차등하는 것 아닌가”, “우리 학교는 보이지 않는다”, “공정하지 않은 것 같다”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